목록도시 (9)
교육부 공식 블로그
촌락 ■ 촌락의 의미 ▲ 촌락 사람들의 생활 모습(출처: 에듀넷) 촌락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동양과 서양이 조금 다릅니다. 한자어로 촌락(村落)이란 ‘사람들이 무리지어 사는 곳’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한자어의 촌락에 해당하는 순우리말로는 ‘마을’이라는 단어가 있지요. 마을 역시 ‘무리’라는 어원을 갖고 있으며, 결국 동양에서 촌락이란 ‘사람들이 모여 사는 장소’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영어에서 촌락을 뜻하는 ‘세틀먼트(settlement)’는 어느 장소에 ‘정착하여 살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즉, 서양에서 촌락 개념은 옮겨 다니면서 목축을 하면서 살아갔던 유목 문화가 한 곳에 정착하여 농사를 짓는 농경 문화로 바뀌면서 등장하게 된 것이랍니다. 일반적으로 촌락은 농업, 임업, 수산업, ..
도시 ■ 도읍(都邑)+시장(市場)=도시도시는 도읍(都邑)과 시장(市場)이 합쳐진 말입니다. 도읍은 행정 및 정치의 중심지를, 시장은 상업 및 경제의 중심지를 의미하지요. 이처럼 도시는 다양한 활동의 중심지로서 매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특징을 가집니다. 도시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다양한 답이 나올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높은 아파트와 복잡한 도로의 모습을 생각할 것입니다. 도시에서는 좁은 지역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다보니 장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높은 빌딩이 많이 세워지고, 시가지가 발달해 있습니다. 그리고 마트, 은행, 병원 등 사람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돕는 각종 편의 시설과 문화 시설, 교통망 등이 잘 발달하였지요. 이처럼 잘 발달된 생활 편의 시설과 교통망,..
북한의 도시와 촌락 ■ 북한 지역은 어떻게 나뉘어 있을까?1945년 광복 후 북한은 행정 구역과 지명을 많이 바꾸었습니다. 광복 당시 북한 지역의 행정 구역은 6개의 도와 9개의 시, 89개의 군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현재는 1개의 직할시(평양), 2개의 특별시(남포, 나선), 9개의 도, 24개의 시, 145개의 군 및 3개의 지구(신의주특별행정지구, 개성공업지구, 금강산관광지구) 등으로 바뀌었습니다. 이 중에서 강원도는 남북한 모두에 걸쳐 있는데요. 지금은 휴전선으로 갈라져 있지만 6.25전쟁 이전에는 관동 지방으로 불리는 하나의 지역이었답니다. ▲ 북한의 행정 구역(광복 당시 / 현재)(출처: 에듀넷) ■ 화려하지 않은 북한의 도시들북한의 주요 도시로는 수도인 평양과 고려의 도읍이었던 개성, 함경남..
촌락과 도시의 구별 ■ 삶의 터전, 촌락과 도시▲ 촌락과 도시(출처: 에듀넷) 촌락과 도시는 인간의 기본적인 삶의 터전입니다. 촌락과 도시처럼 인간이 집단으로 자리를 잡아 생활을 이어가는 장소를 ‘취락’이라고 하지요. 촌락과 도시, 이 두 유형의 취락은 살고 있는 인구수나 인구 밀도, 행정 구역, 주민의 경제 활동, 경관 및 토지 이용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촌락에도 아파트나 고층 건물이 들어서면서 전형적인 촌락의 모습은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날 촌락과 도시를 분류하는 기준은 절대적이 아니라 상대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촌락과 도시를 구분하는 기준촌락과 도시를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첫째, 촌락과 도시를 인구 규모로 구별합니다. 인구가 많고..
귀농과 귀촌 ■ 인구에도 U턴이 있다!유턴(U-Turn, U턴)은 직선 도로에서 반대 차선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유턴이라 불리는 이유는 이러한 행위가 글자 영어 알파벳 ‘U’자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입니다. 차량은 보통 길을 잘못 가서 다시 되돌아와야 할 경우거나, 도로의 진행 방향 반대편에 목적지가 있는 경우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유턴을 하죠. 인구에도 ‘U턴 현상’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도시의 인구가 도시 밖으로 벗어나는 현상으로, 촌락에서 살던 사람이 촌락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였다가 다시 농촌으로 귀향하는 것을 말합니다. 2013년 3월에 발표된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2년도 귀농가구는 1만1220가구(1만9657명)로 2011년보다 11.4%, 인원으로는 1..
지방자치의 의미 ■ 지방자치가 왜 필요할까요? 우리나라 강원도 내륙 농촌과 어촌,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모습은 확연히 다릅니다. 이렇게 지역에 따라 사는 모습도 제각각이고 문화도 다르기 때문에 필요한 제도들도 제각각입니다. 해안가에서 어업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주민들은 어업 관련 정책이 필요하며, 도시지역의 주민들은 도시 지역에 관련한 정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특정 지역 주민들이 그 지방의 고유한 행정과 사무를 자율적으로 처리하는 지방자치가 합리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너무나도 다른 우리 지역의 생활(도시, 농촌, 어촌)(출처: 에듀넷) 지방 자치란 일정한 지역 주민이 자기 지역의 일을 자율적으로 처리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지방 자치는 중앙 정부로부터 자율성을 가지면서 스스로 지역의 일을 처리해 ..
세계의 생태 도시 ■ 생태도시란?꽉 막힌 도로와 높은 빌딩으로 가득한 도심은 보는 이를 숨 막히게 합니다. 삭막한 도시에 맑은 물이 흐르는 하천과 공원 등의 휴식 공간이 조성된다면 삶은 더욱 풍요로워질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많은 나라에서도 이러한 생태도시 조성에 많은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생태도시라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도시를 의미할까요? 생태도시(Ecological Polis)란 사람과 자연, 환경이 조화되며 공생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도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도시는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인공적인 건물들로 인하여 자연 생태 공간이 부족합니다. 생태도시는 인공 경관인 도시와 주변 자연 생태계가 연결될 수 있도록 도시 내부에 공원, 숲 등의 생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도시 구조라..
쇠퇴한 도시에 활기를 불어넣어요 ■ 발상의 전환으로 되살아난 마을, 고토부키일본 요코하마에 있는 작은 마을인 고토부키는 다시 되살아난 지역이에요. 코토랩이라는 사회적 기업의 활동을 통해 새롭게 태어난 곳이에요. 예전의 고토부키는 일용직 노동자들이 모여살던 곳이었어요. 작은 방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우리나라의 쪽방촌 같은 곳이었지요. 그러나 지금은 전 세계에서 배낭여행객들이 모여드는 유스호스텔촌이 되었습니다. 어떻게 이런 변화가 가능했을까요? 고토부키는 예전부터 정해진 직업이 없는 가난한 사람들이 많이 살던 곳이었기 때문에 주변 지역에서는 이곳을 안전하지 않은 동네로 보았어요. 경제가 어려워진 후에는 노동자들이 하나 둘씩 이곳을 떠나면서 남아도는 빈 방도 많아졌고 사람들이 줄어들자 지역의 환경은 점점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