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미래교육 (92)
교육부 공식 블로그

- 학생, 예비교원, 교원들과 원격수업 경험 나누고 미래교육 방향 모색 - ◈ 협업과 소통으로 실천한 다양한 원격수업 현장 경험 공유 ◈ 학생 주도, 교사 자율, 학부모 연대로 학교 민주주의 실현 방안 논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8월 7일(금),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제9차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는「원격수업과 민주적 소통」영상 개발에 참여한 학생, 예비교원, 교원이 참석하여 원격수업 경험과 질 제고를 위한 지원방안 및 미래교육 정책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먼저 교사와 학생이 경험한 원격교육 사례를 발표한다. 가락고등학교 장은경 수석교사는 민주적 의사 결정과 협업을 통한 원격수업 사례를 발표하고, 창조고등학교 전소연 학생은 학생의 입장에서 바라..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중 BTL방식으로 추진되는 사업은 25%인 5조5천억원 규모로 건설비를 제외한 이자 및 민간수인은 총 1조 2천억원(20년간 연각 약 2.5%)입니다. 이자만 5조5천억원이라는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 자세히보기 : https://bit.ly/3id1WSb #미래교육 #교육부 #그린스마트미래학교 #학교뉴딜 #BTL

언론사명 / 보도일시 : 중앙일보(김경미 기자) / 2020. 8. 6.(목) 제목 : “20년간 BTL 이자만 5조5000억” 학교뉴딜 재원 ‘배보다 배꼽’ < 동 보도내용에 대한 반박 >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추진으로 인한 20년간 BTL 이자만 5조5000억이라는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교육부는 지난달 17일 2025년까지 총 18조5천억 원을 투입하여 노후학교 건물 2,835동을 미래학교로 조성하는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전체사업물량 2,835동 중 BTL방식으로 추진되는 사업은 25%에 해당하는 5조5천억 원 규모입니다. 이 중 건설비를 제외한 이자 및 민간수익은 총 1조2천억 원(20년간 연간 약 2.5%)입니다. “직접 건물을 짓는 재정사업과 비교하여 BT..

◈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해 현장과의 열린 대화 연속 진행 중 ◈ 제6차 대화 주제: ‘포스트코로나 시대, 교육복지안전망 구축 방안’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7월 31일(금), 정부 세종청사에서「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6차 대화」를 개최한다. ㅇ 교육부는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교육 현장의 혁신적 변화를 토대로 미래교육을 향해 도약하고자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를 기획하고 정책 분야별 대화 및 권역별 지역포럼*을 연속하여 개최 중이다. * 총론 및 정책 분야별 대화 5회, 권역별 대화 3회 개최 ㅇ 앞서 6월 17일(수)에 열린 제1차 대화에서 미래교육의 다섯 가지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고, 공간혁신, 디지털기반 교육혁신, 교육복지안전망 등 ..

포스트코로나! 기후변화협약! 미래교육대전환! 아이들의 학교 변화를 위한 한국판 뉴딜 대표과제 #그린스마트미래학교 (#그린스마트스쿨) ✔제로 에너지를 지향하는 그린학교 ✔미래형 수업을 위한 ICT기반 스마트교실 ✔사용자 참여 설계 중심의 공간혁신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학교시설복합화 언제, 어디서나 우리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다양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삶 중심의 공간으로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를 만들어갑니다. 바로보기 #미래교육 #포스트코로나 #기후변화협약 #미래교육대전환 #그린스마트미래학교 #그린스마트스쿨 #제로에너지 #그린학교 #스마트교실 #미래형수업 #공간혁신 #학교시설복합화 #교육부

언론사명 / 보도일시 : 한국경제(배태웅 기자), 한국일보(이윤주 기자) 등 / 2020. 7. 23. (목) 제목 : 공립 초․중․고 교원 채용 2023년까지 1,300명 줄인다초중등 교원 선발 700명 줄인다 등 <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 2020년 7월 23일 발표한 에 제시된 중등교원 신규채용 규모는 2018년 발표한 수급계획을 유지한 것입니다. ※ 중등교원 신규채용규모를 2020년 대비 2024년까지 최대 650명 감축하는 것은 2018년에 기 발표된 사항 한편, 2030년 초등 학령인구가 242만명이 아닌 180만명으로 추계되어 학령인구 감소폭이 25%에 달함에 따라, 불가피하게 초등 신규채용 규모를 2018년 계획보다 감축하되, 기존 계획에 대한 신뢰 보호 및 코로나 19 상황 등을 고..

✅초등학생 수가 현저하게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2021년~2024년 공립 초등학교 신규 교원 채용규모를 조정하였습니다. ✅공립 중등교원 신규 채용규모는 2018년 수급계획을 유지합니다. 학생수 감소를 교육의 질 개선의 기회로 삼고, 새로운 교원수급정책을 추진합니다! 미래교육체제로의 전환, 새로운 교원수급정책으로 뒷받침하겠습니다. #교육부 #교원수급정책 #미래교육 #교육대전환

◈ 지역별 의료 격차 해소, 특수·기피 전문분야 및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의대 정원 확대 추진 : 2022년부터 400명 확대하여 10년간 4천명 양성 ◈ 미래교육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교원수급정책 추진 - 2023년 교원 수급계획부터 ‘학급당 학생 수’, 초등학교 안심학년제 및 고교학점제 등 교육 수요 반영 - 미래교육에 대비한 교원양성체제 마련을 위해 8월부터 사회적 협의 시작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7월 23일(목) 정부세종청사에서 제10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겸 제4차 사람투자인재양성협의회를 개최한다. ※ 1호 안건(의과대학 정원 확대 추진방안), 별도 보도자료 배포 제2호 안건으로 「미래교육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교원수급정책 추진 계획」을 논의한다. 이번 계획은 2019년 통계청 장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