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미래교육 (92)
교육부 공식 블로그

미래교육 혁신을 위해서는 학교, 지자체, 지역기관, 대학 간의 협업과 지역 협치가 중요한 만큼 지역의 노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과 관심을 이어나가겠습니다.

신기술, 신산업이 등장하면서 산업구조의 지각변동이 시작되었습니다. 학생들의 꿈과 진로도 보다 다양해지고 있는데요. 4차산업혁명,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직업계고 학과 개편! ✔신산업 기초기술인재를 육성을 위한 학과 ✔유망산업분야의 학과 등 2020년 101개의 직업계고등학교의 153개 학과가 새로워집니다. 직업계고의 변화는 계속됩니다. 우리 학생들의 적성과 꿈을 직업계고에서 찾아보세요~ #직업계고 #4차산업혁명 #미래교육 #미래사회 #학과개편 #기초기술인재 #인공지능SW #정보보호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바로보기 : youtu.be/ssiyqgZTVRc

◈ 일반고 전환교인 부산국제외고 방문, 코로나19 이후 미래 고교 교육의 방향 모색 ◈ 영남권 교육감과 교육격차 해소 방안 및 지역 현안 등 협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7월 15일(수),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제1차 권역별 포럼 및 시도교육감 영남권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7월 9일(목)에 있었던 전국 시도교육감과의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4차 대화」에서 논의한 것을 토대로, 교육부가 미래교육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지역으로 찾아가 직접 들을 필요가 있음을 공감하고 추진하게 되었다. 권역별 포럼 및 간담회는 총 4개 권역*에서 진행하며,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역의 혁신적인 변화를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방향과 ..

포스트코로나 교육 대전환 상황 속에서 교원정책 방향, 한국형 뉴딜정책 등 미래 교육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시도교육청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습니다. #교육부#미래교육#한국형_뉴딜정책

□ 언론사명 / 보도일시 : 조선일보 (사설)/ '20. 7. 9.(목) □ 제목 : 1당 국회서 닷새 만에 통과된 추경, 드러나는 엉터리 부실들 <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 금회 3차 추경에 편성된 초중등 온라인교육 인프라 구축 예산*은 교수·학습 혁신과 제2 팬더믹에 대비하여 학교의 기본적인 시설과 장비를 보완하기 위해 필수적인 예산입니다. * 학교 무선환경 구축에 1,481억원, PC 등 교원용노후기자재 교체 886억원 학생용 스마트패드 지원 사업은 이번 추경예산과 별개로, ’17년부터 “초중등 무선인프라 확충”사업(특별교부금)을 통해 교당 최대 60대의 스마트패드를 지원하는 사업이며, 학생 및 교원에게 지원되는 무선인터넷 사용 기기 지원을 위한 일부 사업에 불과합니다. 시·도교육청과 협의하여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코로나를 극복하고 미래교육으로 한걸음 나아가기 위해 2020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으로 교육분야 한국판 뉴딜을 추진합니다. ✔ 원격교육 역량강화와 디지털 인프라 구축 ✔ 공공일자리 창출 지원 ✔ 희망사다리장학금 확대 ✔ 코로나19 학교 방역물품 지원 예산이 적재적소에 쓰일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한국판뉴딜 #포스트코로나 #미래교육 #추경 #추가경정예산 #한국판뉴딜정책 #원격교육#디지털인프라 #공공일자리 #희망사다리장학금 #코로나19 ▶바로보기 youtu.be/axvwshzachw

■ 작성:공영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출처: 교육부 웹진 행복한 교육 (https://bit.ly/38sPQkr) 본지에 수록된 외부 필자의 원고는 교육부의 정책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에듀테크란? 사실 어려운 개념은 아니다. 우리는 디지털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ICT와 SW기술이 접목되어 모든 것들이 디지털화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 분야는 에듀테크다. 에듀테크는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교육에 ICT기술을 접목해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또는 교육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데 활용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최근 에..

정보 기술의 발달로 많은 곳에서 빅데이터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많은 관심과 집중을 한 몸에 받고 있는데요. 과거, 데이터가 정보를 정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면 현재는 직무의 효율을 높이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쓰이고 있답니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우리 학생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 빅데이터란? 빅데이터란,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으며, 수치 데이터뿐만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3V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3V는 규모라는 뜻의 Volume, 속도라는 뜻의 Velocity, 다양성이라는 뜻의 Variety를 의미합니다. 즉, 빅데이터는 일반적인 데이터와 달리 데이터의 물리적인 크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