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에듀넷 (456)
교육부 공식 블로그
우리나라의 전통 악기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연주되었던 악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우리나라 전통 악기를 소개하고 있는 역사서를 통해 옛날 우리 선조들이 사용하던 악기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삼국사기’라는 역사책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악기 이름 일부가 소개되어 있고, ‘고려사’라는 역사책에는 30종의 악기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의 ‘세종실록 오례의’에는 54종, 조선 전반기의 음악을 총정리한 ‘악학궤범’에 65종의 악기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악기를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소리를 내는 방법에 따라 악기를 분류하는 방법이 있는데, 줄을 울려 소리를 내는 악기를 ‘현명 악기’, 공간을 울려 소리 내는 악기를 ‘공명 악기’, 몸체를 울려 소리 내는 악기를 ‘체명..
신라의 해상무역 ■ 해외에서 찾은 신라의 흔적신라는 동해바다에 인접해 있었고, 이를 통해 활발한 해상무역을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해상활동을 가능하게 했던 것은 뛰어난 성능의 배와 항해술, 그리고 새로운 세계로 진출하고자하는 굳은 의지 때문이었습니다. 이렇게 해상무역을 통해 다른 나라와 활발한 교역을 했던 신라의 역사적 사실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의 고문서 등에서도 나타나있습니다. 이러한 다른 나라의 오래된 기록에서 보면 신라는 금이 넘쳐나는 황금의 나라로서 자신들과 생김새가 다른 이들을 포용하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성격을 지닌 매력적인 나라였다고 합니다. 신라의 모습을 관심 있게 연구한 학자들 사이에서는 신라가 동서양의 잇는 무역로였던 실크로드의 동쪽 끝이었다는 주장을 합니다. 그리 생각해보면 ..
저울의 역사 저울이란 물체의 무게나 질량을 재는 기계나 기구를 말합니다. 물체의 무게나 질량을 잴 때는 용수철의 성질, 수평잡기의 원리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무게를 잽니다. 저울은 점점 발달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저울들이 나왔고 여러 곳에 쓰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기원전 1000년 무렵에 청동으로 만든 생활용품들이 대량으로 생산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때 저울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삼국시대에는 화폐가 없었으므로 물건의 무게로 가치를 따졌습니다. 무게를 재는 방법에 따라 이득을 보거나 손해를 보는 사람이 생겨 이를 막기 위한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따라서 백제에서는 ‘도시부’, 신라에서는 ‘시전’이라는 관청을 두어 도량형제도를 감독하도록 하였습니다.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기록과 삼..
세계의 지형 ■ 지구의 표면, 지형지구를 축구공만큼 작게 만들어 우리 손에 올려놓는다면 지형은 우리 손에 닿는 지구 표면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는 높고 뾰족한 산맥에서부터 끝이 보이지 않는 넓은 평야, 구불구불 흐르는 하천,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해안선, 모래가 가득한 사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형이 있습니다. 지구에서 가장 높은 곳은 8,848m의 에베레스트 산이고, 가장 깊은 곳은 11,034m의 비타아즈 해연이라고 합니다. 지구의 지형은 항상 똑같은 모습으로 있는 것은 아니며, 맨틀의 이동 및 태양 에너지와 대기의 순환으로 인해 끊임없이 변화하게 됩니다. ▲20억 년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미국 그랜드 캐니언의 모습(출처: 에듀넷) ■ 지구의 지붕, 산과 산맥 ▲세계..
저울의 종류와 원리 ■ 저울의 종류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저울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그 원리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용수철을 이용하여 용수철의 길이가 잡아당기는 힘의 크기에 비례하여 늘어나는 성질을 이용하여 용수철이 늘어나는 부분에 바늘을 달아서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입니다. 바늘이 눈금을 표시하거나 눈금판이 돌아가는 저울은 대부분 용수철이 사용된 저울입니다. 이러한 저울에는 가정용 저울, 체중계, 판지시 저울, 용수철 저울 등이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지레를 이용하여 한쪽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를 올려놓고, 다른 쪽에는 분동이나 추를 올려놓아 양쪽에 작용하는 힘이 균형을 이루어 수평이 되는 것을 이용하여 무게를 재는 저울입니다. 이러한 저울에는 양팔 저울, 윗접..
게놈 지도 ■ 게놈 지도게놈(Genome)은 생물이 담고 있는 유전자의 전체 염기 서열을 말하며, DNA로 암호화 되어 있는 유전자의 총량을 뜻합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게놈을 분석하기 시작했는데 특정 생물의 게놈 배열 상태를 나타낸 것이 바로 게놈 지도입니다.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지도를 보고 장소를 찾아 가듯이, 염색체의 어느 위치에 어떤 유전자가 있는지 나타낸 것이지요.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유전자 지도라고도 합니다. 유전자 지도를 구성할 때는 게놈이 가진 염기 서열의 길이가 워낙 길기 때문에 DNA를 자른 후 구간마다 각각의 서열을 확인합니다. 이후 확인된 서열을 다시 하나로 합쳐서 전체 유전자 지도를 완성합니다. 가장 먼저 유전자 지도가 만들어진 생물은 맥주를 만들 때 쓰이..
염색체 ■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염색체'엄마 닮았니, 아빠 닮았니?', '눈은 엄마 닮았네!', '넌 아빠랑 판박이구나~' 이런 이야기 주변에서 자주 들어 보았죠? 그 이유는 바로 엄마, 아빠에게서 어떠한 정보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유전된다’고 하고, 유전된 어떠한 정보를 ‘유전 정보’라고 합니다. 이러한 유전 정보는 모든 생물이 갖고 있으며, 개인마다 다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부모님에게서 받은 유전 정보는 특정한 형태로 우리에게 전달되는데, 이것이 바로 ‘염색체’입니다. 염색체는 세포 속에 들어 있으며 각 세포들은 염색체가 담고 있는 유전 정보에 의해 활동이 조절됩니다. 사람의 염색체를 현미경으로 확인해 보면 X자 형태를 보이며, 염색체는 가운데에 있는 동원체(centromere)와 양 ..
훅(Hooke)의 법칙 ■ 탄성의 크기탄성력이란 무엇일까요? 용수철을 한자로 쓰면 龍鬚鐵입니다. 여기서 용수(龍鬚)란 돌돌 말려 있는 용의 수염을 뜻하는데, 용의 수염은 잡아당겨서 펴졌다가도 잡아당기는 힘이 없어지면 원래의 돌돌 말린 모양으로 되돌아간다고 생각했습니다. 즉, 용수철이라는 이름은 용의 수염과 같이 모양이 변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성질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이처럼 용수철을 당겼다가 놓으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탄성’이라고 하며 우리 주변에서 탄성을 가지고 있는 물체를 이용하는 경우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탄성을 가진 물체를 탄성체라고 하며, 탄성체의 모양을 변하게 하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힘이 생기는데, 이러한 힘을 ‘탄성력’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