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재양성 (84)
교육부 공식 블로그

□ 국립대병원의 사업내용에 ‘융합의학의 교육 및 연구’ 추가 신설 □ 융합의학을 토대로 다양한 환자 치료방안 연구 및 개발 가능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국립대병원은 융합의학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책을 마련하여 국가보건의료 역량을 강화한다. 교육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대학교병원 설치법」과 「국립대학병원 설치법」 일부개정법률안이 9월 7일(수),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국립대학병원이 융합의학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국립대병원의 사업내용*에 ‘융합의학의 교육 및 연구’가 신설되었다. 아울러, 개정 법률에서 융합의학을 ‘의학계와 이공계 등 다른 학문과 융합에 기반을 둔 응용학문’이라고 정의함으로써 이공계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계, 예・체능계 ..

학교기업이란 무엇인가요?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에 성공한 A군. 하지만, 대학 졸업 후 산업 현장에서 바로 일을 시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자신이 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바로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는데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학교기업! 학교기업(School-Based Enterprise)은 교육기관에서 개발된 기술을 특정 학과 또는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직접 물품의 제조·가공·수선·판매, 용역의 제공 등을 하는 부서입니다. 이처럼 학교기업은 교육과정과 연계한 기업활동 과정에서 학생들의 현장실습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학교기업 설치와 운영은 어떻게 이뤄지나요? 학교기업은 학생 및 교원의 현장실습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고, 산업체 등으로의 기술 이전 등을 촉진하기 위하여 도입한..

여러분은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최근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과 관련된 뉴스를 접한 분이라면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확히 어떤 사업인지, 무엇이 달라지는지 알고 계신 분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신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이란?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반도체, 이차전지 등 새로운 분야의 미래 산업에 종사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펼치는 사업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인재 양성 주관부처인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7개 부처가 분야별 인재양성 사업에..

2023년도 교육부 예산안 101조 8,422억원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양성 및 지역 맞춤형 인재양성 집중 추진 ✔2023년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예산 2,710억원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AWVRpd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분야 인재양성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지역 맞춤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원을 지속하겠습니다. #교육부 #2023년도 #예산안 #약101조 #반도체 #첨단분야 #인재양성 #지역맞춤형 #인재양성 #집중추진

① 4차 산업혁명 대비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양성 집중 지원 ② 지방대학 시대를 지원하기 위한 지역 맞춤형 혁신인재양성 추진 ③ 생애 주기별 교육격차 완화 및 교육비 부담 경감 ④ 취약계층 등의 평생교육 및 직업역량 개발 기회 확대 ⑤ 고등교육의 안정적 재정확충을 위한 (가칭)고등・평생교육 특별회계 신설 추진 2023년도 예산안 편성 총괄 교육부는 2023년도 교육부 예산안으로 2022년도 예산 89조 6,251억 원 대비 12조 2,191억 원 증가한 101조 8,442억 원을 편성하였다고 밝혔다. 유아 및 초・중등 부문은 2022년 예산 70조 7,301억 원 대비 11조 7,023억 원 증액하여 82조 4,324억 원을 편성하였다. 그 중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2023년 규모는 2022년 65조 5..

‘국민과 함께 만드는 교육, 자율 속에서 성장하는 인재’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교육부의 새로운 업무보고가 발표되었습니다. 교육부는 코로나19의 아픔을 차근차근 극복하고, 더 먼 곳을 바라보기 위해 발돋움하려고 합니다. 총 다섯 가지 핵심 추진과제로 진행됩니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 교육부로 전면 혁신’, ‘국가 책임제로 교육의 출발선부터 격차 해소’, ‘수요자 중심 미래형 교육체제 실현’,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첨단분야 인재 양성 총력’, ‘대학의 여건과 역량에 맞춘 다양하고 자유로운 성장 지원’ 조금은 복잡해 보이지만 각 과제는 모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육개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5가지 과제 설명과 교육부가 그려낸 미래 교육 계획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민 눈높이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 빠른 대응을 위해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알차고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경험하고, 사회로 진출하는 데 큰 도움을 주기 위해 여러 혁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시작되어 온 ‘대학혁신지원사업’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학 기본역량을 강화하고 전략적인 특성화를 지원하며, 대학의 자율적 혁신을 통해 국가의 혁신성장을 주도할 미래형 창의인재 양성 체제 구축을 지원하는 취지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그리고 올해부터 달라지는 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은 무엇인지를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은 대학에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양성하고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도입된 사업입니다. 최근 2019년부터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