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지도 (19)
교육부 공식 블로그
투영법이 하는거짓말 ■ 지구의 모습을 종이 위에 그대로 담을 수는 없을까?아무리 조심스럽게 해도 귤 껍질을 온전한 모양의 사각형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어느 한 곳은 찢어지고 벌어지게 되지요. 마찬가지로 둥근 구 모양의 지구를 지도에 표현하려면 어쩔 수 없이 특정 지역의 모양을 다르게 그리거나 크기를 바꾸어 그려야 합니다. 이로 인해 지도 위에 표시된 여러 지점 사이의 각도, 거리, 땅의 모양, 면적 등이 실제와 다르게 그려집니다. 입체인 지구의 모습을 평면으로 옮겨 표현하는 것을 투영법 또는 도법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세계지도나 우리나라 전도의 경우 메르카토르 도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6세기 네덜란드의 지리학자인 메르카토르는 전 세계의 모습을 한 장의 지도 안에 모두 담으려..
전국 일주에필요한 지도 읽기 ■ 지도상의 두 지점 사이의 실제 거리는 얼마일까?방학을 맞이하여 자전거로 전국 일주를 하고 싶은 학생이 있습니다. 이 학생에게 필요한 위치 정보는 지도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지도를 잘 활용한다면 우리나라 전국 방방곡곡을 여행해도 길을 잃지 않고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겠죠? 그렇다면 지도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지구 표면의 상태를 문자나 기호를 이용해 실제보다 축소해서 평면에 나타내는 것을 ‘지도’라고 합니다. 지도는 위치를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축척, 방위, 기호, 등고선을 통해 지도의 위치 정보를 읽어 낼 수 있습니다. 축척은 실제 거리와 지도상의 거리의 비율로, 지도의 거리 측정을 통해 실제 거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소축척지도와 대..
통계지도 ■ 통계 자료의 내용을 지도에 옮겨 담아요.서울의 각 지역에는 얼마나 많은 초등학생이 살고 있을까? 우리나라에서 홍수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지역은 어디일까? 혹시 이런 궁금증을 가져본 적 있나요? 이러한 정보를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지도에 옮겨 표현한 것이 바로 통계지도입니다. 다시 말해, 통계지도란 수치화된 통계자료를 지도 위에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013년 서울시 구별 초등학생 수(통계자료)(출처: 에듀넷) ▲ 2013년 서울시 구별 초등학생 수(통계지도)(출처: 에듀넷) 위의 통계자료는 서울시의 구별 초등학생의 수를 나타낸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통계지도로 나타낸 것이 그 아래의 지도입니다. 통계자료의 경우, 어떤 구의 초등학생 수가 몇 명인지는 알기 쉽습니다. ..
위치도 ■ 일상생활 속에서 유용하게 이용되는 지도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에는 현재 내가 있는 곳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지도가 있습니다. 대형마트, 백화점에는 현재 내가 있는 층에 어떤 가게들이 있는지 알 수 있는 지도가 붙어 있지요. 이런 지도들을 ‘위치도’라고 합니다. 위치도란 어떤 장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지도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내가 지금 있는 곳이 어디인지를 알게 하고, 주변에 어떤 장소가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치도는 특정 장소의 위치를 알려주고 길을 안내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안내도’라고도 합니다. 학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위치도로는 청소 구역 배치도가 있습니다. 청소 구역 배치도를 보면 우리 반이 청소를 맡은 구역이 어디인지, 우리 교실과 얼마나 ..
사람들의 생각을나타내는 심상지도 ■ 같은 장소를 다르게 그려요.▲ 서로 다른 학생이 그린 지도(A - 좌 / B - 우)(출처: 에듀넷) 위의 지도는 두 명의 학생이 학교 주변의 모습을 그린 지도입니다. A 학생은 마트를 크게 그린 것을 보니 평소에 마트라는 장소를 매우 좋아하는 학생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트와 학교가 큰 길로 곧장 이어져 있는 것을 보니 아마 학교에 있어도 마트에 가고 싶은 학생의 마음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B 학생이 그린 지도에서는 학교 주변이 아파트로 빽빽하게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학생은 학교 건물 앞에 있는 계단이 잘 보이도록 지도를 그렸습니다. 학교 건물과 운동장 사이에 있는 계단은 이 학생이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하고 놀기도 하는 소중한 곳입니다. 친구들과의 추억이 담긴..
축척이 하는 거짓말 ■ 지도는 왜 거짓말을 하나요?지도에는 위치, 거리, 방위 등 다양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그런데 실제 모습을 축소해서 그리다 보니 실제 지표상의 모든 것을 담을 수가 없고 따라서 특정한 지형, 건물 등을 선택하여 그리게 됩니다. 또 공과 같이 입체적인 형태의 지구 표면을 평면인 종이에 옮기려고 할 때에도 어쩔 수 없이 실제의 모습과는 다르게 표현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로 인해 지도의 거짓말은 시작됩니다. 지도의 요소 중에서도 특히 축척, 투영법, 기호로 인해 왜곡이 일어납니다. 축척이란 무엇일까?축척은 실제 지표상의 거리를 지도 위에 일정한 비율로 줄인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축척이 1:5,000인 지도가 있다면, 이 지도 위의 1cm는 실제 지표에서의 5,000cm(50m)..
세계 지도와 지구본 ■ 둥근 지구, 평평한 지도▲ 지구본과 세계 지도(출처: 에듀넷) 지구본과 세계 지도는 세계 여러 지역을 살펴볼 때 기본이 되는 도구입니다. 지구본은 둥근 지구를 아주 작게 줄여서 지구와 비슷한 모습으로 만든 것이고, 세계 지도는 둥근 지구 표면의 모습을 평면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지구본은 세계 여러 나라의 위치, 거리, 면적 등과 같은 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지만, 한눈에 전 세계를 보기는 어렵습니다. 반면 세계 지도는 한눈에 전 세계를 파악할 수 있지만 둥근 지구를 평면에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땅의 크기나 바다의 모양, 임의의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실제와 달라집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지도의 쓰임새에 맞게 다양한 방법으로 세계 지도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 지구에도 주소..
분포도 ■ 분포도를 보고 그 안에 담긴 숨은 정보를 찾아내요분포도란 사람이나 물건, 현상 등이 일정한 지역 안에서 어디에 얼마나 많이 자리 잡고 있는지를 나타낸 지도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 동네 문구점 분포도’는 우리 동네의 문구점이 어디에, 몇 개나 있는지를 표시한 지도입니다. ▲ 우리 동네 문구점 분포도(출처: 에듀넷) 위에 제시된 지도를 보면 초등학교 주변에 7개의 문구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중 4개는 초등학교 근처에 있고 나머지 3개는 아파트나 주택 등 사람들이 사는 곳 주변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습니다. 문구점이 이렇게 분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문구점은 학용품이나 준비물 등 주로 학교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판매하는 곳입니다. 문구점에서 물건을 많이 팔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