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카이스트 (15)
교육부 공식 블로그

교육부는 9월 2일, 세종 컨벤션센터에서 ㈜기아와 함께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래 첨단산업 분야 진로 토크콘서트’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미래 첨단산업에 대한 토크콘서트뿐만 아니라 진로 체험 부스가 함께 운영되었는데요. 참여한 학생들은 미래 첨단산업 분야에 대한 진로 탐색과 해당 분야에 필요한 역량을 경험하며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아쉽게 참여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국민 서포터즈가 직접 방문 후기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뇌기반 인공지능 연구자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정재승 교수님은 “다음 세대, 미래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를 주제로 4차 산업혁명에서 필요로 하는 요소, 앞으로 일어날 교육에서의 지각변동 등을 설명하였습니다. 교수님은 이전 시대와..
“과학세상의 비밀 문을 열다”- 농산어촌 학생 카이스트에서 진로교육 체험- 교육부·대전시·카이스트·국가과학기술연구회 업무협약 교육부(부총리 겸 장관 이준식)는 2월 24(수)~25(목) 1박2일 일정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및 대전연구단지에서 지역 맞춤형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충남지역 소재 벽지학교인 미산중학교와 청라중학교 1, 2학년 학생 40명이 참여하여 과학연구 분야에 대한 진로체험 기회를 가졌습니다. 지역 맞춤형 진로체험 프로그램은 해당 지역의 특화 산업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여러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진로탐색‧상담 및 직업체험 등 다양한 진로체험 활동을 종합적으로 지원합니다. 지역 맞춤형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처음 시행한 교육부는 이번 프로그램을 지속 ..
KAIST와 함께 하는 첨단융합(STEAM)교육 연수 스토리텔링 I 아티언스 I 프로젝트 I 융합교육 | 연구원STEAM 교육의 현주소STEAM이란 과학(Science)을 과목을 하나의 문제를 중심으로 통합하여 가르치는 것을 말합니다. 실생활의 여러 가지 문제들은 하나의 과목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례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전까지의 교육이 단절된 교육과정을 가르쳤기 때문에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인재를 양육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많아 융합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융합이라는 것이 학생들의 사고과정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현재 학교 내에서도 쉽게 융합교육을 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첨단과학교..
아쉽게도 여름방학이 끝나고 개학을 했습니다. 저는 친구들과 방학 동안 어떤 일들을 했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가족과 함께 여행을 갔다고 하는 친구도 있었고, 친구들의 집에서 함께 잤다고 하는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그래도 여러 일 중에서 가장 많이 이야기되었던 것은 바로 ‘캠프 참가’였습니다. 초등학생 때는 방학 때 수 많은 캠프에 참가했는데 중학교에 올라와서는 한 가지만 참가하였습니다. 제가 참가했던 캠프는 과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로 진행된 ‘교육청 과학영재교육원 여름캠프’였습니다. 이번 여름캠프는 다음과 같은 취지가 있습니다. ‘생명과학체험과 자연사박물관 견학을 주제로 한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과학적 견문을 넓혀서 미래의 비전을 갖게 하고, 생활과 교육을 통한 협동심과 책임의식 함양..
2013년 청소년 꿈 & 미래를 생각하다 발명왕이 말하는 '창의의 즐거움' 청소년들에게 꿈과 비전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특별한 특강을 듣고 왔습니다. 대전학생교육문화원에서 연중 수시로 운영되는 특강인데요. 오늘 강의의 주제는 '발명의 즐거움'입니다. 하지만 저는 '하고 싶은 일을 하자'가 강의의 주제라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중학교 3학년인 제 친구들의 큰 고민 중 하나가 성적인데요. 강의를 듣고는 친구들에게 말해주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아직 늦지 않다고. 자, 그럼 특별한 발명가의 이야기를 같이 들어보실까요?괴짜 발명왕, KAIST 박사과정 연구원 국내외 150여 견의 특허 출원으로 과학의 토대하에 새로운 것을 발명하는 발명가이며 과학자인 황성재 연구원님을 만났습니다. 황성재 연구원님은 현재 카이스..
여러분은 로봇 하면 어떤 모습이 떠오르시나요? 저는 어렸을 때 애니메이션이나 영화를 통해 보았던 로봇의 모습이 떠오르는데요. 태권브이와 같은 강한 모습부터 영화 'A.I.'에서 보았던 사랑스러운 로봇까지 왠지 사람과 소통할 수 있을 것만 같은 모습입니다. 그러고 보면 로봇은 사람의 만화적 상상력이 현실로 이루어진 가장 대표적인 과학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인류의 과학기술이 발전되면 발전될수록 인간과 더불어 생활하는 로봇의 모습, 그리고 동작을 제어하고, 생각해서 움직이는 능력 하며 다양한 감각 기관을 가진 디자인까지... 지금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류와 함께 진화하고 있습니다. (그림 출처: 영화 포스터) 세계적으로 로봇과학기술은 일본과 미국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 국내에서도 서비..
나로과학위성, 나로호 3차발사 전 최종공개- 8월 24일(금),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대국민 공개 - 교육과학기술부와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는 오는 10월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예정인 나로과학위성의 발사준비가 완료되었으며, 8월 24일(금)에 국민들에게 위성발사 전 마지막 모습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나로과학위성은 ‘나로호 궤도검증, 우주환경 관측 등 우주과학실험, 국산화 기술 우주검증 등의 임무수행이 가능한 100kg급 소형위성 개발’을 목표로 2011년 2월부터 개발이 착수되었으며, 지난 7월 31일 발사장 이동 전 최종점검인 선적전 검토회의(Pre-Shipment Review)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나로호에 탑재될 준비를 마쳤습니다. 나로과학위성 개발사업은 교육과학기술..
신나는 여름 방학, 여러분은 어디를 여행할 계획이신지요? 여행 중 한 곳을 과학도시로 정하는 것은 어떠신가요? 미국에 실리콘밸리가 있다면 한국에는 대덕밸리가 있지요. 대덕밸리는 과학의 도시 대전에 위치하며 매번 여름 방학을 맞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행사를 진행하고 있답니다. 저는 방학이 아니더라도 대전에 어렸을 때부터 여러 과학 기관들을 편하게 다녔답니다. 그래서 저의 빛나는 안목으로 여름 방학을 맞아 청소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체험 행사 및 유익한 캠프를 꼭 집어 소개하려고 합니다. 학원을 잠시 쉬고 며칠 대전을 방문하신다면 꼭 이번에 새롭게 소개된 프로그램을 참고하시고 흥미 있는 기관을 선택하여 방문하시면 알차게 시간을 보내실 수 있을 거라 확신합니다. 흥미 있는 프로그램을 발견하셨다면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