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249)
교육부 공식 블로그
한국엔 생소한 저온생물 연구에 밑거름 되고파 2009년 남극세종과학기지에 파견된 박승일 생물연구원을 만나다 남극은 생물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곳이다. 심하면 영하 70도까지 넘나드는 극한 환경 속에서도 펭귄, 크릴 및 저온 생물체가 생존한다. 외국에서는 이미 예전부터 저온 생물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다. 그러나 국내에선 아직 남극에 서식하는 저온 생물체 연구가 초보단계에 지나지 않는다. 2005년 당시 남극세종과학기지에서 활동하는 박승일 연구원(사진 제공 : 박승일 연구원) 박승일(38) 연구원. 그는 이번 22차 월동 연구대에서 생물 탐구를 담당한다. 박 연구원은 4년 전인 2005년 이미 한번 남극 세종과학기지에 파견된 바 있다. 그는 “저온 생물 연구 범위가 제한된 국내 연구를 위해 생물을..
"매년 한 두달 남극에 출장 간답니다" 2009년 남극 세종과학기지 이끌 진영근 대장을 만나다 “불확실한 것 보다 예측이 가능한 것을 좋아하는 편입니다.” 진영근(46) 박사가 제22차 월동 연구대 대장으로 선정된 이유를 짐작할 수 있었다. 남극 월동 연구대는 1년에 한 번 남극 세종과학기지로 파견돼 1년 동안 남극에서 활동한다. 남극은 1년 중 6개월이 밤이고 6개월이 낮인 기이한 곳이다. 한낮에도 어두컴컴하며 영하 30도를 넘나든다. 때로는 신기루 현상이 벌어지고 물체의 그림자가 없어지기도 한다. 이런 예측 불가능한 곳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은 생사의 여부를 100% 보장하기가 어렵다. 대장은 대원들이 안전하게 1년 동안 작업할 수 있도록 인도하고 함께 무사히 귀국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러므로 ..
인천 송도 테크노 파크에 위치한 극지 연구소 전경 인천 연수구 끄트마리에 붙은 다리를 하나 건너자 희뿌연 하늘 아래 송도 신도시가 차창 너머로 모습을 보였다. 헝클어진 데라곤 찾아볼 수 없는 신도시였다. 2009년 1월 1일 세종 과학기지로 파견되는 대원들을 만나기 위해 극지 연구소로 이동하는 택시는 반듯하게 뻗은 도로를 따라 매끄럽게 미끄러졌다. 도로 양옆에는 아파트들이 바둑판에 놓인 바둑돌마냥 정갈하게 늘어서 있었다. 공사가 한창인 송도 테크노단지 앞, 수평선 너머로 바다와 섬이 보인다. 그런데 갑자기 벌판이 난데없이 펼쳐졌다. 흙으로 메운 갯벌이었다. 뿌연 벌판 너머로 섬과 바다가 안개 사이로 어렴풋이 실루엣을 드러냈다. 포크레인들은 갯벌 위에서 묵묵히 흙먼지를 풀풀 날렸다. 사방에서 굉음이 났다...
과학영재학교 ‘경기과학고’를 방문하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2월19일(금)에 “대구과학고등학교, 경기과학고등학교를 영재교육진흥법에 의한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영재학교로 지정된 대구과학고 및 경기과학고는 영재교육진흥법의 적용을 받아 창의성과 탐구력 위주의 과학영재교육을 실시할 예정으로, 교육과정 개설, 우수교원 충원, 시설ㆍ기자재 확충 등을 준비하고 신입생을 선발하여 대구과학고는 2011년, 경기과학고는 2010년에 각각 영재학교로 개교한다. 이 중 ‘경기과학고등학교’에 방문하여, 축제 ‘솔대제’에서 자신의 실력을 펼치는 학생들의 모습을 보고 과학영재학교와 그 추진방향에 대해 들어보았다. 경기과학고 축제 ‘솔대제’ - 우리 실력 어때요? 12월 22일, 경기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축제 솔..
합격 전략,대학알리미와 함께 하세요~ 2008년 12월, 이번 한해 어떻게 잘 마무리 되고 계시나요? 여기 더 잘 보내는 방법이 하나 더 있습니다. 특히나 고생한 우리 수험생들에게 힘이 되어줄 바로 그것! 대학알리미를 소개합니다~ 대학알리미, 누구냐 넌? 12월 1일, 정보공시제가 도입되었습니다.정보공시제란말 그대로 정보를 공개하겠다는 것인데요, 그 정보는 바로 우리가 다니는, 그리고 우리가 다니게 될 학교에 관한 것입니다. 우리 수험생들은 어떤 대학에 진학해야 할까고민이 많을 텐데 그 고민해결을 도와줄 가장 객관적인 자료들을 모아놓은 것이라 할 수 있죠.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한번 볼까요? 자 모두 저를 따라 클릭하세요. 먼저 검색창에 '대학알리미' 라고 칩니다. 와우! 너무 많은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