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8/01 (110)
교육부 공식 블로그
“교육과정으로 초․중등교육의 방향과 역할을 찾다” - 해피 에듀(Happy Edu) 교육과정 페스티벌(1.18.~1.19.) 개최 - 교육부와 경상북도교육청․한국교육개발원은 2018년 1월 18일(목)부터 1월 19일(금)까지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해피 에듀(Happy Edu) 교육과정 페스티벌」을 개최합니다. ※ 해피 에듀(Happy Edu) 교육과정 페스티벌 : ‘교육과정 우수학교와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우수사례 공모전’ 시상식 및 우수사례 발표회를 통합하여 개최하는 교육과정 축제 이번 페스티벌은 “모든 아이는 우리 모두의 아이, 교육과정으로 학교를 혁신하다” 를 주제로 다채로운 프로그램과 함께 1박 2일간 운영됩니다. 사전 행사인 개막식(1월 18일(목) 11:30~12:20)에서는 교육과정 ..
「제9회 방과후학교 대상(大賞) 및 2017년 100대 우수 방과후학교」 시상식 개최 - 충남 팔봉중학교 등 학교, 교사, 지역사회파트너 3개 부분에서 50편 본상 수상 - 교육부는 「제9회 방과후학교 대상(大賞) 및 100대 우수 방과후학교」 시상식을 1월 18일(목) 13시 더케이(The-K)호텔 서울에서 개최합니다. ※ 방과후학교 대상 : 방과후학교 운영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한 학교, 교사, 지역사회 기관 격려와 우수 사례 발굴․확산을 위해 2009년부터 실시 특히, 올해는 초등돌봄교실을 별도 부문(특별상)에서 본상에 포함시키고, 지역사회 파트너상 중 지방자치단체 수상비율을 높여 온종일 돌봄 여건 개선을 위해 노력한 기관 등을 격려하였습니다. ※ 지방자치단체 수상비율: (2016년) 3개 기관, ..
2017 대학창업통계, 교육부·중기부 공동 조사결과 최초 발표 -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창업기업 증가 등 대학 창업 열기 고조 - 교육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그간 개별적으로 작성하던 대학 산학협력활동 실태조사(교육부, 2011~)와 대학창업인프라 실태조사(중기부, 2012~)를 일원화하고 2017년 4월부터 8월까지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간 두 부처의 통계는 내용은 일부 유사하나 통계 작성기준, 대상이 상이하여 대학, 창업기업 등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어왔습니다. * 예) 창업동아리: (교육부) 지도교수가 있고 대학에 등록한 동아리에 한함 / (중기부) 지도교수가 없거나 대학에 미등록한 동아리도 포함 이를 해결하기 위해 두 부처는 「대학 창업통..
“교육부, 자녀돌봄 10시 출근제 시행” 중앙부처 최초로 육아시간 보장 위해 10시 출근제 시행 교육부는 저출산 대책의 하나로 어린 자녀가 있는 직원들이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함께하고, 일․생활 균형 여건이 보장될 수 있도록 1월 16일 부터 『자녀돌봄 10시 출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자녀돌봄 10시 출근제』는 남녀 직원들이 맘 편하게 육아를 할 수 있도록 10시 출근과 육아시간 1일 1시간 단축근무를 보장하는 것인데요, 주요 내용을 함께 살펴볼까요? 첫 번째, 육아휴직이 가능한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실제 육아 중인 직원은 기본 근무시간을 변경하여 대상자는 별도 신청 없이 10시 출근으로 전환됩니다. ※ 10시 출근제 대상 168명(2018년 1월 기준) 두 번째,..
교육부, 유아 단계 조기 영어교육 부작용부터 우선 해소 추진 - 과도한 유치원 방과후 영어운영 ‧ 고액 유아 영어학원 단속 강화 즉시 시행 - 국민 의견 수렴 거쳐 유치원 방과후 영어 개선방안 내년초까지 마련 교육부는 2018. 1. 17.(수), 발달단계에 적합한 유아교육과 유아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유아 영어학원 등 과열된 조기 영어교육 폐해를 우선 해소하고, 학교 영어교육 전반에 대한 종합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간, 교육부는 영어 조기교육 문화를 개선하고 발달단계에 맞는 적기교육을 위해 영어를 초등학교 3학년부터 정규교육과정에 편성하고, 초등학교 1~2학년 방과후 과정을 통한 영어 선행교육은 제한*하였으며, 유아단계에서도 방과후 과정 내 영어교육 문제의 개선을 검토하면서 국민의 의..
교육부, 4차 산업혁명 인재 양성 혁신선도대학 선정 - 5개 권역, 10개교 지정하여 100억 원(교당 10억 원) 지원 - 교육부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이하 ‘LINC+’)사업의 하나로, 2018년도부터 신규로 추진하는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이하 ‘혁신선도대학’) 지정 및 운영계획”을 확정·발표하였습니다. * LINC+ :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college) Cooperation + 2018년 혁신선도대학 사업의 지원 예산 규모는 총 100억원으로, 총 10개교를 선정하여 교당 10억 원 내외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기존 LINC+ 일반대 산학협력고도화형 선정 대학(55개교)을 대상으로 신청서를 제출받아, 서면 및 대면평가 등을 거쳐 최종 선정합니다. ..
2018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기본계획(안) 발표 - 5개 권역별 12개 내외 대학에 총 108억 원 지원- - 재직자 맞춤형 학사제도 도입 등 대학의 성인평생교육 역할 강화 - 교육부는 1월 16일(화)에 2018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 기본계획(안)을 발표하였습니다.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은 대학이 성인학습자 친화적 학사제도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총 12개 내외 대학을 선정하여 총 108억 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2016), 평생학습 중심대학 지원사업(2008∼2016) →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2017∼)으로 통합·개편 이번 사업은 지역별 평생교육 우수 모델을 육성할 목적으로 5개 권역(수도권, ..
석면제거 중인 전국 1,240개 학교, 꼼꼼히 살핀다 겨울방학 중 석면해체·제거 학교 현장 전수 점검 실시 석면공사 기간, 학교장 책임 아래 일일 자체점검 공사 완료 이후 민관 합동으로 석면 잔재물조사 추진 교육부, 환경부, 고용노동부는 지자체와 함께 겨울방학에 석면 해체·제거 작업을 실시하는 1,240개 학교의 석면공사 현장을 특별관리합니다. 이번 특별관리는 지난해 여름방학 때 석면제거가 완료된 일부 학교에서 석면 잔재물이 발견되어 학생들의 건강피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관계부처는 1월 15일부터 2월 초까지 1,240개 학교를 규모별로 나누어 책임부처를 지정하여 전수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대규모 현장은 고용노동부가, 중간 규모 현장은 환경부와 지자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