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학습자료/과학 (275)
교육부 공식 블로그
DNA의 구조 ■ DNA의 구성DNA는 당-인산-염기로 구성된 뉴클레오티드 사슬 2개가 나란하게 꼬여 있는 이중 나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뉴클레오티드는 결합되어 있는 염기에 의해 종류가 나뉘며, A(아데닌), G(구아닌), C(시토신), T(티민)의 네 가지 염기가 존재하는데 이 네 가지 염기들의 배열된 순서에 의해 유전 정보가 암호화됩니다. 즉, 염기의 순서에 의해 어떤 머리색인지, 쌍커풀이 있는지, 혀가 동그랗게 말리는지 등 특징이 정해집니다. ■ DNA 구조와 유전의 비밀DNA가 이중 나선 구조로 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100년도 되지 않았습니다. DNA가 유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어떻게 정보가 전달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DNA 구조를 파악하는 문제가..
다양한 악기 세상에는 참 다양한 악기들이 많이 있습니다. 몇몇 악기들을 소개하겠습니다. ■ 마림바실로폰과 비슷한 형태의 악기로, 공명통이 달린 나무 막대로 된 건반을 ‘말렛’이라고 부르는 고무나 천을 끝에 매단 막대로 두들겨 연주하는 악기입니다. ‘말렛’은 한손에 두 개씩 양손에 총 4개를 잡고 연주합니다. 본래, 아프리카의 민속 악기였는데, 멕시코, 중남미에 보급되어 라틴아메리카의 민속 악기로 정착되었고, 1950년대 초부터는 오케스트라의 악기로 이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실로폰에 비해 울림이 좋고, 더 넓은 음역대의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마림바(출처: 에듀넷) ■ 색소폰색소폰은 금속이나 나무 등의 관을 입으로 불어서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색소폰은 황동의 금속으로 만들어져..
들과 산에 사는 식물 ■ 우리 주변의 풀들강아지풀강아지풀은 이삭이 강아지 꼬리를 닮아서 강아지풀이라고 부릅니다. 개꼬리풀, 제주개피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구미초(狗尾草)라고 합니다. 줄기는 가늘고 곧게 자라며, 일반적으로 높이는 30~40cm 정도입니다. 잎의 길이는 5~20cm, 폭은 5~20mm , 뿌리는 수염뿌리입니다. 초록색 꽃은 7~8월경에 강아지 꼬리 모양으로 가지 끝에 이삭으로 달립니다. 꽃대에는 2~6mm의 센 털이 나 있습니다. 거친 땅과 길가에서 잘 자라며 종류로는 금강아지풀, 주름금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등이 있습니다. ▲강아지풀(출처: 에듀넷) 토끼풀토끼풀은 토끼가 잘 뜯어먹는 풀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높이는 20~30cm이며 줄기는 땅 위를 기며, 각 마디에서는 5~15c..
전자 저울 수평잡기의 원리나 용수철의 성질을 이용하여 만든 저울은 물체의 무게를 읽으려면 눈금의 바늘이 가리키는 곳을 봐야 하므로 시간이 걸리고 정확하게 읽기가 힘듭니다. 전자저울은 무게를 숫자로 나타내거나 전기적인 원리로 무게를 측정하여 물체의 무게를 보다 쉽고 편리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저울입니다.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재고자 하는 물체를 수평잡기 저울에서 수평이 되게 할 때 필요한 전류의 양을 측정하여 무게를 나타내는 저울이 있습니다. 물체에 힘이 가해져서 모양이 변했을 때 모양이 변한 정도에 따라 저항이 달라져 전류의 양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해 물체의 무게를 재기도 합니다. 단순히 무게만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장착하여 빈 접시의 무게를 자동으로 빼고 물체의 무게만 ..
기상청이 하는 일 ■ 기상청이 하는 일일기 예보란 특정 지역의 날씨를 미리 예측하여 알려 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일들을 하는 곳이 기상청입니다. 야외 활동을 앞둔 사람들이나 어업, 농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기상청에서 알려 주는 일기 예보를 통해 다음날 혹은 며칠 뒤의 활동을 결정합니다. 그만큼 기상청은 우리 생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럼 기상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봅시다. 기상청은 매일 하늘과 바다, 땅에서 관측한 기상 자료와 여러 나라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통해 일기 예보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합니다. 날씨를 예측해서 알려 주는 일과 더불어 지진을 예측하고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알려 주며, 화산이 폭발할 위험, 해일이 일어날 확률과 규모, 그리고 우주의 날씨까지 다양..
DNA의 발견 우리 세포 속에 DNA가 들어 있다는 사실은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요? 1868년 스위스의 과학자 프리드리히 미셔(Johann Friedrich Miescher)는 상처에서 생기는 고름을 연구하다가 고름에 들어 있는 백혈구의 핵을 추출하는 방법을 고안했습니다. 핵을 추출해 성분을 분석해 보았더니 산성(acid)의 성분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단백질과 DNA로 구성된 이 물질을 뉴클라인(nuclein)이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이후 이 물질은 핵산(nucleic acid)이라고 다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과학자들은 핵에서 단백질과 DNA를 발견했지만 여전히 어떤 물질이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지는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DNA 구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DNA를 구성하고 있는 염기인 A, G,..
거울의 원리와 이용 ■ 빛의 반사빛은 성질이 같은 물질 내에서 직진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하지만 빛이 물체에 부딪히면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이것을 ‘반사’라고 합니다. 우리가 물체를 눈으로 보게 되는 과정은, 광원에서 출발한 빛이 물체에 부딪혀 반사하고, 반사된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우리는 물체를 볼 수 있게 됩니다. 또, 우리가 영화관에서 영화를 볼 때는 영사기로 영화의 필름에 빛을 쏩니다. 그러면 영사기를 통과한 빛이 앞쪽의 스크린에 반사되어 우리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우리가 영화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빛이 물체 면에서 반사할 때 일정한 규칙이 있습니다. 거울 면에 들어가는 빛을 ‘입사 광선’, 거울 면에서 반사된 빛을 ‘반사 광선’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거울 면에 빛이 닿..
계절이 변하는 까닭 계절이 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신기하게도 지구는 겨울철에 태양에 가까이 접근하고 여름철에 태양으로부터 더 멀어집니다.(남반구는 반대) 하지만 이는 지구와 태양이 떨어져 있는 거리에 비하면 3% 정도로 매우 작은 차이이기 때문에 실제로 지구 기후에 영향을 줄 정도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면 계절 변화가 일어나는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요? 계절 변화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만약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지 않거나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 자전만 한다면 계절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을 거예요. 즉, 자전축의 기울기와 공전으로 인하여 태양의 고도와 시간(낮의 길이)이 달라져 계절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지요. 태양의 고도가 높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