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학습자료/과학 (275)
교육부 공식 블로그
하루종일 낮이라면 어떻게 살지? 북극(남극)의 낮과 밤은 다른 대륙처럼 해가 뜨면 밝아지고 해가 지면 어두워지는 낮과 밤이 아닙니다. 밤이 낮처럼 밝은 현상이 6개월 정도 계속될 때도 있고, 6개월간 캄캄한 밤이 계속될 때도 있습니다. 이처럼 낮이 계속 될 때를 ‘백야’, 밤이 계속 될 때를 ‘극야’라고 합니다. ■ 하루종일 낮 - 백야백야는 북위 약 66.5° 이상의 북반구 지역과 남위 약 66.5° 이하의 남반구 지역에서 한여름에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북반구에서는 6월 21일(하지) 무렵, 남반구에서는 12월 22일(동지) 무렵에 백야 현상이 일어나며 가장 긴 곳에서는 6개월간 지속됩니다. ▲백야 때 태양 - 미국 알래스카(출처: 에듀넷) 백야는 스칸디나..
우리나라의 지층 ■ 채석강채석강하면 한강이나, 낙동강 같은 강 이름 같죠? 그런데 채석강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에서 서해 쪽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곳으로 1.5km 길이로 쭉 늘어선 파도에 의해 만들어진 해안 절벽과 바닷가를 말합니다. 채석강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아주 옛날 중국의 시인 이태백이 강물에 뜬 달 그림자를 잡으려다 빠졌다는 중국의 채석강과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채석강 해안 절벽은 강한 파도의 영향으로 형성된 것이며 마치 수만 권의 책을 정연하게 쌓아올린 것 같은 층리, 다양한 색깔의 지층을 볼 수 있습니다. 채석강의 지층을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의 암석으로 이루어져 층리가 많이 발달되어 있으며, 높은 해식애, 넓은 파식대 등 해안 지형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전라북..
명왕성이 행성계에서 퇴출된 이유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평균 기온이 -248℃ 정도입니다. 산소와 메탄가스가 고체로 있어 인간이 자원을 획득하는 데 가장 좋은 태양계 천체로 알려져 있지만 지구와의 거리가 매우 멀고 기온이 낮기 때문에 인간이 살 수는 없습니다. 명왕성이 최초에 발견된 1930년대에는 지구 정도의 크기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달보다도 작아 지름은 지구의 0.18배이며, 부피는 0.0066배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중력은 지구의 약 6~7% 정도이므로 지구에서 몸무게가 60kg인 사람은 명왕성에서 약 4kg이 됩니다. 명왕성의 주변을 도는 위성은 5개가 있습니다. 이처럼 명왕성의 질량과 중력은 행성이라 보기엔 너무 작고 공전 궤도 또한 심한 타원형으로 찌그러져 있어 해왕성..
위치에 따라 변하는 몸무게 ■ 지구와 달의 중력어떤 물체가 받는 중력의 크기를 우리는 무게라고 부릅니다. 몸무게란 우리 몸을 지구가 잡아당기는 중력의 크기로, 몸무게가 무거운 사람은 가벼운 사람에 비해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이 셉니다. 무게는 힘의 단위인 N(뉴턴)을 사용해야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g(그램)이나 kg(킬로그램)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사실 g(그램)과 kg(킬로그램)은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질량의 단위입니다. 지구 위에서는 무게가 질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둘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정확하게 무게의 단위를 사용할 때는 g(그램)과 kg(킬로그램) 뒤에 힘이라는 의미인 F를 붙인 gF(그램힘)이나 kgF(킬로그램힘)을 사용해야 합니다. 천체가 그 천체 주변에 있는 물체를 끌어당기..
뉴턴의 사과는 정말 존재하는 것일까? ■ 뉴턴의 사과프랑스의 화가인 모리드 드니(Maurice Denis)는 “역사상 유명한 사과가 셋 있는데, 첫째가 이브의 사과이고, 둘째가 뉴턴의 사과이며, 셋째가 세잔의 사과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만큼 뉴턴의 사과는 전 세계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3~1727)은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이자 수학자, 신학자입니다. 뉴턴은 만유인력의 법칙뿐만 아니라 운동의 세 가지 법칙을 만들었고, 반사 망원경을 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학적으로는 미적분학을 발달시키는 등 수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뉴턴과 관련하여 가장 잘 알려진 일화는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는 것입니다. ..
쌀과 밀을 통해 보는 아시아와 유럽 이야기 ■ 아시아의 쌀 이야기쌀은 주로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아시아의 충적평야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110여 개 국에서 재배되고 있지만 아시아에서 생산되는 양이 전체 생산량의 90%가 넘습니다. 주식으로 이용되는 쌀은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아 인구 부양력이 높습니다. 또한, 쌀은 재배하는 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쌀 생산지는 인구 밀도가 높습니다. 쌀은 생산지가 곧 소비지가 되어 국제적인 이동량이 적은 작물입니다. 최근에는 수출을 목적으로 미국의 서부 지역과 이탈리아 북부 지역에서 상업적 농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쌀의 국제적 이동(출처: 에듀넷) [우리의 주식, 쌀]우리나라의 곡물 자급률은 평균 27% 정도이지만 쌀은 100%가..
소변 검사 시험지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 지시약이란물질은 산성, 중성, 염기성 등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산성, 중성, 염기성을 구분하는 기준은 그 용액이 가지고 있는 산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는데, 산의 세기는 ‘pH(페하)’라는 기호로 나타냅니다. pH 7을 중성으로하여 7보다 작으면 산성, 7보다 크면 염기성으로 분류합니다. 그럼 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어떻게 알아 낼까요? 바로 지시약을 이용하면 된답니다. 지시약은 용액이 가지고 있는 산의 세기에 따라 자신의 색깔을 변화시킴으로써 그 물질이 어떤 특성(산성, 중성, 염기성)을 지니는가를 구분해 주는 물질입니다. 산·염기 지시약이 대표적인데 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알려 주는 지시약으로 리트머스 종이, BTB ..
파도는 지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해식 작용바닷물의 운동에 의하여 육지를 침식하는 작용을 ‘해식 작용’이라고 하며 간단히 ‘해식’이라고도 합니다. 해식 작용에는 파도와 조류에 의한 침식 작용이 있습니다. 조류는 운반 수단으로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침식 작용에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파도가 침식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파도는 오랜 기간에 걸쳐 해안의 돌출된 부분의 약한 암석을 깎아 내고 깎아 낸 물질을 퇴적시켜 해안선을 변화시킵니다. 이렇게 파도에 의해 해안가에 생긴 절벽을 ‘해식애’라고 합니다. 바닷가에서 파도에 의해 해식애의 아랫쪽이 파이면 ‘해식 동굴’이 생깁니다. 이 해식 동굴이 무너져 내리면 ‘해식 절벽’이 생깁니다. 해수면 밑에서 해파의 침식 작용으로 평탄한 ‘해식 대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