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학습자료/사회 (239)
교육부 공식 블로그
팔도강산 특산물 ■ 팔도강산 특산물이 모이는 서울의 시장들전국 각지에서 생산되는 특산물들은 산지에서 바로 소비자들에게 팔리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커다란 트럭에 실려 대도시로 갑니다. 대표적인 곳이 서울인데요. 서울에 가면 채소도 많고, 과일도 많고, 생선도 많고, 그야말로 없는 게 없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전국에서 올라온 특산물들이 다 모여 있지요. 이러한 특산물들을 판매하기 위해 서울 곳곳에는 남대문 시장, 노량진 수산 시장, 가락동 농수산물 시장, 경동 한약재 시장 등 큰 시장들이 많이 있답니다. ▲ 서울의 시장들(출처: 에듀넷) 여러분이 싱싱한 과일, 채소, 수산물 등 우리 집 저녁 밥상을 풍성하게 만들어줄 재료들을 사고 싶다면, 앞서 소개한 시장들 중 가락동 농수산물 시장을 이용하면 됩니다. ..
이동 수단의 발달 ■ 이동 수단의 종류 및 발달이동 수단이란 무엇일까요? 사람이 오고 가거나 물건을 옮기는데 이용하는 수단을 이동 수단이라고 합니다. 여러분은 다음의 이동 수단 중 어떤 것을 이용해 보았나요? 이러한 이동 수단은 의사소통 수단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 이동 수단의 종류(출처: 에듀넷) ■ 무인자동차와 무인운전 시스템 철도이러한 사실은 영화의 한 장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90년에 제작된 영화 속 한 장면에서 주인공이 로봇에게 행선지를 말하면, 직접 운전하지 않아도 로봇이 운전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과거에는 이 장면이 무한한 상상으로 이루어지는 허무맹랑한 생각이었지만, 지금은 현실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바로 무인자동차입니다. 오..
세계 여러나라지하철의 모습 ■ 우리나라의 지하철여러분은 지하철을 타본 적이 있나요? 지하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 지하철 노선도(서울)(출처: 에듀넷) 바로 지하철 노선도입니다. 지하철 노선도에서는 지하철을 통해 갈 수 있는 다양한 역들의 이름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의 지하철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1~9호선까지의 노선을 모두 합치면 그 길이가 세계 3위라고 합니다. 게다가 공항철도, 분당선, 각 지역의 경전철까지 합치면 그 규모는 엄청나다고 할 수 있죠. ■ 일본의 지하철복잡한 지하철의 광경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곳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가까운 이웃나라 일본의 지하철 연 이용객은 2013년 기준 33억 3,400만 명에 달하여 세계에서 가..
관광지로서의남극 대륙 ■ 지구 최남단의 대륙, 남극남극(南極)은 지구의 최남단에 있는 대륙으로, 한가운데 남극점이 있습니다. 남극 대륙은 거의 대부분 남극권 이남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에는 남극해가 있습니다. 면적은 약 14,000,000 km2로서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이어 다섯 번째로 큰 대륙이며 남극보다 면적이 넓은 나라는 러시아가 유일합니다. 한반도의 60배이고 지구 육지면적의 9.2%를 차지합니다. 남극의 연평균온도는 영하 23도이며, 남극의 약 98%가 얼음으로 덮여 있는데(얼음으로 덮이지 않은 면적은 약 280,000 km2에 불과함), 이 얼음은 평균 두께가 1.6km에 이릅니다. 남극에는 각종 자원이 풍부합니다. 얼음처럼 생겼지만 불을 붙이면 활활 타오르는 메탄..
지중해 연안의기후와 관광지 ■ 지중해 연안을 찾아 떠나는 사람들영국은 날씨의 변화가 아주 심합니다. 4월에 눈이 오기도 하고 7월에 우박이 내리기도 합니다. 비는 연중 고르게 내리지만, 평균적으로 3월부터 6월까지가 가장 건조한 시기이고 9월부터 1월까지가 비가 가장 많이 내리는 시기입니다. 한국처럼 장대비가 쏟아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바람이 많이 불어서 우산을 사용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영국의 여름은 우리나라처럼 아주 덥지는 않습니다. 겨울엔 영하로 잘 떨어지지 않지만 우리나라처럼 건조하지가 않아서 더 싸늘하고 춥게 느껴집니다. 봄(3, 4, 5월)에는 따뜻하여 평균 섭씨 6도에서 12도의 맑은 날이기는 하지만 갑작스런 날씨 변화가 심합니다. 가을(9, 10, 11월)은 평균 섭씨 14도(9월)에서 7..
문화대국 백제 ■ 삼국 시대 중 가장 먼저 번성했던 백제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 가운데서 제일 먼저 전성기를 맞이한 나라는 백제였습니다. 한반도에서 가장 비옥한 땅과 다른 나라와 교류할 수 있는 바다를 가졌던 백제는 아름답고 수준 높은 문화를 가진 문화대국이었습니다. 백제는 고구려를 세운 주몽의 아들인 온조가 한반도 아래로 내려와 세운 나라입니다. 고구려를 세운 주몽은 자신의 뒤를 이을 아들로 첫 번째 부인에게서 태어난 유리를 선택합니다. 그에 따라 두 번째 부인 소서노는그녀의 아들인 온조와 비류, 그들을 따르던 무리들과 함께 남쪽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온조와 비류는 도읍을 정하는 데 있어 서로 다른 의견을 보였고 결국 온조가 정했던 현재의 서울을 도읍으로 하여 나라를 세우게 되는데 이 나라가 백제였습..
촌락 ■ 촌락의 의미 ▲ 촌락 사람들의 생활 모습(출처: 에듀넷) 촌락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동양과 서양이 조금 다릅니다. 한자어로 촌락(村落)이란 ‘사람들이 무리지어 사는 곳’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한자어의 촌락에 해당하는 순우리말로는 ‘마을’이라는 단어가 있지요. 마을 역시 ‘무리’라는 어원을 갖고 있으며, 결국 동양에서 촌락이란 ‘사람들이 모여 사는 장소’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영어에서 촌락을 뜻하는 ‘세틀먼트(settlement)’는 어느 장소에 ‘정착하여 살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즉, 서양에서 촌락 개념은 옮겨 다니면서 목축을 하면서 살아갔던 유목 문화가 한 곳에 정착하여 농사를 짓는 농경 문화로 바뀌면서 등장하게 된 것이랍니다. 일반적으로 촌락은 농업, 임업, 수산업, ..
도시 ■ 도읍(都邑)+시장(市場)=도시도시는 도읍(都邑)과 시장(市場)이 합쳐진 말입니다. 도읍은 행정 및 정치의 중심지를, 시장은 상업 및 경제의 중심지를 의미하지요. 이처럼 도시는 다양한 활동의 중심지로서 매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특징을 가집니다. 도시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다양한 답이 나올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높은 아파트와 복잡한 도로의 모습을 생각할 것입니다. 도시에서는 좁은 지역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다보니 장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높은 빌딩이 많이 세워지고, 시가지가 발달해 있습니다. 그리고 마트, 은행, 병원 등 사람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돕는 각종 편의 시설과 문화 시설, 교통망 등이 잘 발달하였지요. 이처럼 잘 발달된 생활 편의 시설과 교통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