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학습자료 (550)
교육부 공식 블로그
위치에 따라 변하는 몸무게 ■ 지구와 달의 중력어떤 물체가 받는 중력의 크기를 우리는 무게라고 부릅니다. 몸무게란 우리 몸을 지구가 잡아당기는 중력의 크기로, 몸무게가 무거운 사람은 가벼운 사람에 비해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이 셉니다. 무게는 힘의 단위인 N(뉴턴)을 사용해야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g(그램)이나 kg(킬로그램)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사실 g(그램)과 kg(킬로그램)은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질량의 단위입니다. 지구 위에서는 무게가 질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둘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정확하게 무게의 단위를 사용할 때는 g(그램)과 kg(킬로그램) 뒤에 힘이라는 의미인 F를 붙인 gF(그램힘)이나 kgF(킬로그램힘)을 사용해야 합니다. 천체가 그 천체 주변에 있는 물체를 끌어당기..
뉴턴의 사과는 정말 존재하는 것일까? ■ 뉴턴의 사과프랑스의 화가인 모리드 드니(Maurice Denis)는 “역사상 유명한 사과가 셋 있는데, 첫째가 이브의 사과이고, 둘째가 뉴턴의 사과이며, 셋째가 세잔의 사과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만큼 뉴턴의 사과는 전 세계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3~1727)은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이자 수학자, 신학자입니다. 뉴턴은 만유인력의 법칙뿐만 아니라 운동의 세 가지 법칙을 만들었고, 반사 망원경을 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학적으로는 미적분학을 발달시키는 등 수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뉴턴과 관련하여 가장 잘 알려진 일화는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는 것입니다. ..
쌀과 밀을 통해 보는 아시아와 유럽 이야기 ■ 아시아의 쌀 이야기쌀은 주로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아시아의 충적평야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110여 개 국에서 재배되고 있지만 아시아에서 생산되는 양이 전체 생산량의 90%가 넘습니다. 주식으로 이용되는 쌀은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아 인구 부양력이 높습니다. 또한, 쌀은 재배하는 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쌀 생산지는 인구 밀도가 높습니다. 쌀은 생산지가 곧 소비지가 되어 국제적인 이동량이 적은 작물입니다. 최근에는 수출을 목적으로 미국의 서부 지역과 이탈리아 북부 지역에서 상업적 농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쌀의 국제적 이동(출처: 에듀넷) [우리의 주식, 쌀]우리나라의 곡물 자급률은 평균 27% 정도이지만 쌀은 100%가..
소변 검사 시험지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 지시약이란물질은 산성, 중성, 염기성 등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산성, 중성, 염기성을 구분하는 기준은 그 용액이 가지고 있는 산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는데, 산의 세기는 ‘pH(페하)’라는 기호로 나타냅니다. pH 7을 중성으로하여 7보다 작으면 산성, 7보다 크면 염기성으로 분류합니다. 그럼 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어떻게 알아 낼까요? 바로 지시약을 이용하면 된답니다. 지시약은 용액이 가지고 있는 산의 세기에 따라 자신의 색깔을 변화시킴으로써 그 물질이 어떤 특성(산성, 중성, 염기성)을 지니는가를 구분해 주는 물질입니다. 산·염기 지시약이 대표적인데 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알려 주는 지시약으로 리트머스 종이, BTB ..
파도는 지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해식 작용바닷물의 운동에 의하여 육지를 침식하는 작용을 ‘해식 작용’이라고 하며 간단히 ‘해식’이라고도 합니다. 해식 작용에는 파도와 조류에 의한 침식 작용이 있습니다. 조류는 운반 수단으로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침식 작용에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파도가 침식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파도는 오랜 기간에 걸쳐 해안의 돌출된 부분의 약한 암석을 깎아 내고 깎아 낸 물질을 퇴적시켜 해안선을 변화시킵니다. 이렇게 파도에 의해 해안가에 생긴 절벽을 ‘해식애’라고 합니다. 바닷가에서 파도에 의해 해식애의 아랫쪽이 파이면 ‘해식 동굴’이 생깁니다. 이 해식 동굴이 무너져 내리면 ‘해식 절벽’이 생깁니다. 해수면 밑에서 해파의 침식 작용으로 평탄한 ‘해식 대지’가..
삼국사기부터 울릉도 검찰일기까지, 독도관련 국내외 문헌자료는? ■ 삼국사기 ▲삼국사기(1145)(출처: 동북아 역사재단) 『삼국사기』권4의 지증왕 13년조에는 하슬라주(何瑟羅州, 지금의 강릉지역)의 군주인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을 복속하였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동국문헌비고』에서는 여지지(輿地志)에 “울릉도와 우산도(독도) 모두 우산국 땅”이라고 하여 우산국에는 울릉도와 독도가 포함됨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로써 우산국이 신라에 복속한 6세기부터 독도가 울릉도와 함께 우리 역사에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고려사 ▲고려사(1451)(출처: 동북아 역사재단) 우산국은 고려가 세워진 이후에도 고려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우산국은 930년(태조 13) 이래 고려에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쳤고,..
목성형 행성,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을 소개합니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과 같은 지구형 행성의 바깥쪽에는 수소와 헬륨이 주성분인 기체 행성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IAU)의 행성에 대한 분류법을 정정한 후로 명왕성이 소행성으로 바뀌자 목성형 행성은 화성 바깥 궤도에 있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목성형 행성은 지구형 행성에 비해 반경은 크지만 평균밀도는 지구형 행성보다 작은 편입니다. 하지만 크기가 매우 커서 전체적인 질량은 지구형 행성보다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목성형 행성들의 자전 속도는 지구형 행성보다 빨라서 편평도가 크고 짙은 대기로 둘러싸여 있어서 가시광선 영역을 관측해 보면 회전하는 대기층을 쉽게 관측할 수 있습니다. 목성형 행성은..
1953년 7월,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하다! ▲변영태 대한민국 외무장관과 덜레스 미 국무장관이 조약에 서명하고 있는 모습(출처: 우리역사넷)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 체결을 통해 6·25 전쟁은 공식적으로 정전 상태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휴전 협정 당시 남한 측의 대표가 참석하지 않고, 이승만 대통령이 정전 협정서에 서명하지 않았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대한민국 정부는 휴전에 대해 적극적인 반대 의사를 표명하였습니다. 이승만 대통령은 휴전에 앞서 안정적인 군사력 증강을 원했지만 미국의 반응은 미온적이었습니다. 그런 가운데 1953년 6월 휴전 회담 최대의 난제였던 포로 교환 문제에 대한 양 측의 합의가 이루어졌고, 정전 협정이 가시화되고 있는 데 반해 한·미 상호 방위 조약 체결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