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다문화가정 (32)
교육부 공식 블로그

다양한 인종,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며 생성된 다문화 사회.중앙다문화교육센터 통계에 따르면 국내 다문화학생 현황은2010년 31,788명에서 2019년 137,225명으로 매년 그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학교를 포함하여 직장, 가정에서도 다문화 사회를 쉽게 접할 수 있어 이러한 변화에 따라 최근 많은 관심을 받는 교육이 있습니다. 바로 다문화이해교육입니다. 다문화시대를 이끌어가는 세계시민 역량을 키우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1. 중앙다문화교육센터(다문화교육포털) 교육부와 중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운영하는 다문화교육포털에서 다문화이해교육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포털은 다름을 인정하는 교육, 다문화시대 인재 육성을 목표로 다문화학..

두 개의 언어로 말하고, 세계의 인재로 자란다 - 다문화학생 대상 제7회 전국 이중언어 말하기 대회 개최 - 전국 50명의 다문화학생들이 한국어와 부모나라 언어 실력 선보여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엘지(LG)연암문화재단(이사장 이문호)은 11월 2일(토) 엘지(LG)사이언스파크에서 ‘제7회 전국 이중언어 말하기 대회’를 개최한다. ‘전국 이중언어 말하기 대회’는 다문화학생이 가진 이중언어 강점을 바탕으로 자긍심을 가지고 정체성을 확립해 나갈 수 있도록 2013년부터 매년 개최해오고 있다. 올해는 시도교육청의 예선을 거친 50명(초·중등 각 25명)의 다문화 학생들이 참가하여 나의 꿈, 학교생활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우리말과 자신의 부모나라 언어①로 발표한다. 특히, 학급 친구들에게 몽골..

#다문화학생은 최근 3년간 매년 1만명 이상 증가해 2019년에는 13만명을 넘어섰습니다. "우리 아이 한국 학교 생활에 잘 적응 할 수 있을까?" "한국어는 잘 이해할 수 있을까?" #다문화 가정의 학부모님들! 아이들 학교 보낼때 걱정 되시죠~? 이젠 #징검다리과정 으로 입학 하기 전 미리미리 적응 준비교육을 받을 수 있어요! #징검다리과정은 #다문화학생이 초등학교 생활을 미리 경험하고 학교 수업과 친해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초등학교 입학예정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징검다리 과정' 공정한 출발선 보장을 위한 시작입니다. 학부모님과 학생, 교사가 모두모두 만족하는 '징검다리 과정' 내년에는 중학교 과정으로 확대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e02e..

국가와 지자체가 함께 편견과 차별이 없는 포용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지역 특색에 맞는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주배경 아동·청소년이 당당한 미래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합니다. #정부혁신 #교육부 #이주아동청소년 #포용사회 ▶관련자료 읽어보기 제10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 제10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 지역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지방자치단... blog.naver.com

제10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 지역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장 참석 통합 돌봄,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 등 중앙-지자체 협력 사항 논의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7. 26.(금)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0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노인·장애인 등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원하는 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안)」과, 이주배경 아동·청소년의 균등한 교육 기회 보장과 안정적인 성장·자립 기반 마련을 위한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 방안(안)」을 논의한다. 특히, 이번 회의에는 전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회장(수원시장)을 비롯하..
한글을 몰랐던 전학생에서멋진 창던지기 선수로 도약하다김해 내덕중 다문화 가정 곽가심 학생 이야기편견, 차별이 아닌 다름에 대한 이해와 관용의 자세로 '다문화'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시나요? 아직까지도 대부분 '다문화'라고 하면 '필리핀, 동남아시아' 등의 나라들을 많이 떠올리곤 합니다. 그리고 여전히 '다문화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보다 공부나 재능이 떨어질 것이다.'라고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편견을 극복하고 한국에 적응하여 잘 생활하고 있는 한 학생이 있습니다. 바로 김해내덕중에 재학중인 곽가심 학생입니다. 비록 처음에는 한글을 모르는 중국에서 온 전학생이었지만, 이제는 멋지게 창던지기 선수로 열심히 생활하는 학생입니다. 곽가심 학생의 이야기에 한 번 귀를 기울여..
다양한 문화를 하나로 묶어주는 예술교육 다솜맘 교실에서는? 다문화가정 I 다솜맘 I 결혼이민자 I 김천교육지원청 I 다문화교육지원센터주위를 둘러보면 우리 이웃에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낯선 땅에 오게 된 결혼이민자들은 고향과는 다른 언어, 문화 등 여러 부분에서 다른 점들이 많아 힘든 점이 많을 것입니다. 많은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력을 향상하기 위해 김천교육지원청 다문화교육지원센터에서 다솜맘 예술교실을 운영하고 있다고 해서 찾아가 보았습니다.김천교육지원청 다문화교육지원센터의 다솜맘 예술교실. 다솜맘은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을 가리키는 말이랍니다. 다솜맘 예술교실은 카페제과점, 가족선물 들기, 예술교실, 가족추억 만들기의 프로그램이 있는데 예술교실을 방문했을 때는 카페제과점 과정..
진주교육지원청 홈페이지에서 대곡중학교 야간공부방 멘토교사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보았을 때 잠시 망설였습니다. 1학기 면접에서 잔뜩 기대했는데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젊은 예비교사도 많은데 그에 비해 참 애매한 나이와 경력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래도 내가 애정을 가진 일에 도전조차 하지 않는 건 도리가 아닙니다. 편한 마음으로 임했습니다. 대곡중학교는 진주시 학원이 몰려 있는 우리 집에서 꼬박 한 시간이 걸립니다. 거리는 물론 경제적 어려움도 있습니다. 결손가정, 다문화가정 학생도 많고 농사로 바빠 집에 가도 돌봐줄 어른이 없습니다. 학습도 중요하지만, 정서적 교감이 필요한 학생들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대곡중학교의 야간공부방은 학력 신장과 돌봄 교실의 역할이 합해졌습니다. 저는 건강가정지원센터 조손가정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