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반도체 (21)
교육부 공식 블로그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공동 연수 개최, 특성화대학 12개교 학생 90여 명,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현대모비스 등 반도체 기업 참여 기업·대학원생이 직접 학생과 소통하며 기업 설명 및 진학·취업 관련 상담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은 12월 20일(수)부터 12월 22일(금)까지 제주도 해비치리조트에서 반도체 특성화대학 8개 사업단 공동 연수를 개최한다. 이번 공동 연수는 반도체 특성화대학 학생들이 반도체 기업과 특성화대학원 선배들을 만나 기업의 직무나 특성화대학원의 교육·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반도체 분야 진학·취업을 준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행사에는 특성화대학 12개교 학생 90여 명과 대학관계자 및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현대모비스(차량용 반도체)..

2023년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참여대학 10개교 선정 대학별 연간 100명 이상 실무 인재양성 기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은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참여대학 선정 결과를 6월 28일(수)에 발표한다.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는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대학과 기업이 공동 운영하는 1년 이내 집중교육을 통해 반도체 등 첨단분야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2023년 신규 사업이다. 올해는 반도체 분야에 한정하여 참여대학 10개교(대학 5개교, 전문대학 5개교)를 선정하였으며, 이의제기 접수(~7.7.) 등을 거쳐 최종 선정될 계획이다. 최종 선정 대학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매년 평균 15억 원 규모의 재정을 지원받게..

2023년 신설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공청회(2.28.) 개최 2023년부터 반도체 인재양성 역량과 의지를 갖춘 특성화대학 수도권 3곳, 비수도권 5곳을 선정하여 연간 540억 원 집중 투자 공청회를 통해 대학 의견수렴 후, 3월 초 기본계획 공고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은 2월 28일(화), 대한상공회의소(서울)에서 「반도체 특성화대학 재정지원 기본계획(안)」에 대한 대학 관계자 의견을 수렴한다.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은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2022.7.19.)에 따라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학사급 인재를 공급하고 석․박사급 인재양성 저변을 넓히기 위해 기획된 대학 재정지원사업이다. 교육부는 반도체 인재양성 역량과 의지를 갖춘 대..

여러분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최근 반도체는 정말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은 반도체는 국가 인프라라고 했으며, 대만은 외교 안보 기술로 여기는 등 반도체를 향한 온 세상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주요 산업이자 수출 분야인 반도체 시장의 핵심은 바로 인재 확보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글로벌 시장을 이끌어갈 반도체 전문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인재 양성과 유치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 인력 수급 현황과 전망은 어떨까요?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2021년 반도체산업 분야 전체 산업인력 수는 176,509명이라고 합니다. 반도체산업 규모 확대 전망에 따라, 산업인력이 현재 약 17.7만 명에서 10년 후 약 30.4만 명까..

2023년도 교육부 예산안 핵심내용을 알려드립니다!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 양성 ✔반도체 특성화 대학 사업을 신설합니다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사업을 신설합니다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 공유대학 사업을 확대합니다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을 확대합니다 ✔신산업분야 특화선도 전문대학 지원사업을 확대합니다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분야 인재양성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eR9ttI #교육부 #예산안 #핵심내용 #반도체 #첨단분야 #인재양성 #디지털신기술

현재 우리는 ‘디지털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가 우리 손안에 있고, 무인 주문 기기가 곳곳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디지털 사회 구성원으로서, 우리는 디지털 사회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번 시간에는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한 디지털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국가 정책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털 인재 양성의 필요성 시시각각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은 우리에게 편리함을 주는 동시에, 해당 기술에 정확하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SW, AI 등 최신 디지털 기술에 필요한 인재를 수요에 맞게 공급하고, 가속화되는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인재 양성 정책을 세웠습니다..

여러분은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최근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과 관련된 뉴스를 접한 분이라면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확히 어떤 사업인지, 무엇이 달라지는지 알고 계신 분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신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이란?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반도체, 이차전지 등 새로운 분야의 미래 산업에 종사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펼치는 사업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인재 양성 주관부처인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7개 부처가 분야별 인재양성 사업에..

2023년도 교육부 예산안 101조 8,422억원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양성 및 지역 맞춤형 인재양성 집중 추진 ✔2023년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예산 2,710억원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AWVRpd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분야 인재양성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지역 맞춤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원을 지속하겠습니다. #교육부 #2023년도 #예산안 #약101조 #반도체 #첨단분야 #인재양성 #지역맞춤형 #인재양성 #집중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