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회관계장관회의 (97)
교육부 공식 블로그

글로벌 교육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 발표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중등직업교육 발전 방안’ 심의 다자녀 혜택 기준(3자녀→2자녀) 완화 등 중앙부처, 지자체, 교육청이 참여하여 범부처 차원의 다자녀 가구 지원정책 강화방안 마련 세계 각국의 기후변화 적응대책과 이행 경험을 논의·공유하는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8.28.~9.1.)’ 개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8월 16일(수) 서울청사에서 제7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Study Korea 300K Project)’, ‘중등직업교육 발전 방안’, ‘다자녀 가구 지원정책 추진 현황 및 개선 방향’ 및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

윤석열 정부 국정운영 방향인 ‘약자 복지’ 실현을 위해 범사회부처 합동 ‘취약계층 발굴-지원-예방·관리 전주기적 협업전략’ 수립 사회분야 데이터 연계 및 지역의 인적자원 활용을 통해 취약계층을 빈틈없이 발굴하고, 위기 상황에 대한 선제적 대응 역량 강화 부처별 취약계층 지원 정책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사회부총리를 중심으로 통합 성과관리 체계 구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7월 19일(수) 서울청사에서 제6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범사회부처 협업전략’을 발표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윤석열 정부 국정운영 방향인 ‘약자복지’ 실현을 위해 소득, 건강과 돌봄, 정서, 학대·폭력 등 취약계층이 직면한 복합적인 문제를 해소하고, 범사회부처 협업을 보다 강화..

청소년층의 마약류 접근을 차단합니다 제4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5.17.) ✔ 청소년에게 마약류를 공급·투약하는 경우 가중 처벌하고 청소년이 마약을 유통·판매하는 경우에도 무관용 원칙을 적용합니다. ✔ 중독재활센터에 청소년 재활프로그램을 도입하고 24시 상담센터를 올해 하반기부터 시범 운영합니다. ✔ 학교의 마약류 예방교육 최소 이수시간 제시 및 마약 차단 효과를 높이는 다양한 교육자료를 개발·보급합니다. ▶ 자세히 보기 : http://bit.ly/3BtRf9L #교육부 #제4차 #사회관계장관회의 #청소년층 #마약류 #접근차단

범정부 마약류 관리 종합대책 후속으로 청소년 관련 마약범죄 엄정 조치 등 청소년층의 마약류 접근 차단을 위한 관계부처 추진상황 점검 사회 구성원의 고립·단절 해소를 위한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 발표 ‘초등돌봄 대기 해소와 2학기 늘봄학교 정책 운영방향’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5월 17일(수) 세종청사에서 제4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청소년 마약류 접근 차단 추진상황’,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 및 ‘초등돌봄 대기 해소와 2학기 늘봄학교 정책 운영방향’을 발표한다. ‘청소년 마약류 접근 차단 추진상황’을 통해 지난해 10월 발표한 「마약류 관리 종합대책」의 후속 계획 중 청소년 관련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식약처·경찰청 등 관계부처 간 협업 방안을 논의한다. 청..

학교공간에 교육·돌봄·문화·복지 시설을 복합 설치하여 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학교복합시설 활성화 방안」 발표 아동학대 예방·조기발견 및 후속 조치 연계를 위한 유관기관 합동 전수조사 실시 등 「장기 미인정결석 학생 관리 강화 방안」 발표 탄소중립 생활실천 문화 확산을 위한 「탄소중립 국민 실천운동 추진계획」과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추진상황 점검을 위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핵심관리과제 추진현황 점검 결과」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3월 17일(금)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사회관계장관회의 안건은 ➀학교복합시설 활성화 방안, ➁장기 미인정결석 학생 관리 강화 방안, ➂탄소중립 국민 실천운동 추진계획, ➃'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핵심..

□ 누구나 누리는 맞춤형 평생학습 진흥을 위한 「평생학습 진흥방안」 발표 □ 조기 발굴과 예방 중심의 학생 맞춤형 통합 지원 체제로의 개편을 위한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 구축 방안」 발표 □ 사회정책 입안 단계부터 국민의 수요를 반영하는 소통 창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국민 제안 정책 아이디어에 대한 중앙부처·지자체의 제도 개선안 마련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12월 28일(수),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다. 평생학습 진흥방안(2023~2027) 디지털 대전환과 초고령사회를 대비하여 향후 5년간 평생학습 정책의 기본방향과 핵심 추진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평생학습 진흥방안(2023~2027년)」을 발표한다. ※ 교육부, 별도 보도자료 배포(12월 28일) ※ 동 방안은..

□ 관계부처 협동으로 마련한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 후속조치로 부처별 추진계획 논의 □ 교육부와 7개 부처가 협업하여 대학의 신산업분야 인재양성을 지원하는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사업」 추진 현황 보고 □ 누구나, 어떠한 형태로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기여활동 활성화 방안」 수립 □ 안전·통합사회 구축을 위한 추진과제 점검 및 향후 발전 방향 논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박순애)는 제1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7월 21일(목)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다.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 부처별 추진계획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의 후속으로 부처별 추진계획을 마련, 이를 논의한다. 정부는 미래산업의 핵심이자 국가 안보 자산인 반도체 기술의 초격차를 확보할 전문인재..

□ 중앙-지방 연계․협업을 강화하고 현장과의 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초지자체가 제안한 사회분야 안건에 대한 중앙부처의 제도개선안 마련 □ 「사람투자 10대 과제」 2021년 핵심 성과 및 향후 추진계획 점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4월 27일(수) 정부세종청사에서 제6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겸 제3차 사람투자인재양성협의회를 개최한다. 사회정책분야 지자체 현안과제 사회정책 분야에서의 중앙-지방정부 간 협업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정책 실행 현장에 있는 기초지자체가 제안한 과제를 논의한다. 지난 2~3월까지 총 6차례에 걸친 간담회(총 21개 기초지자체 참석)를 통해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지역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였으며, 이 중 4개 제안에 대한 개선방안을 안건으로 마련하였다. 1. 학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