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스마트폰 (43)
교육부 공식 블로그

최근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이 늘어났을 것 같아요! 인터넷과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해 온라인 강의를 듣고 있는 학생들도 있고, 그 외에도 게임, 스트레스 풀기용으로도 사용하고 있죠? 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스마트폰과 인터넷! 적절한 사용은 생활의 편의에 도움이 되지만,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 중독, 게임중독에 빠질 수 있는 위험도 있습니다. 주의가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죠! 한 번 중독에 빠져들게 되면 극복하기 위해서 꽤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해요. 따라서 중독되지 않기 위한 예방이 매우 중요한데요. 우리의 일상 속 하나의 생활 도구가 되어버렸기 때문에 완전히 끊기란 힘들지만 시간을 정한 적절한 사용은 중독에..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이동통신 3사와 협력해 EBS 등 주요 교육사이트에 대한 데이터요금 무과금(제로레이팅)을 6월 말까지 한 달 더 연장한다고 밝혔다. ㅇ 온라인 개학이 이루어진 4월부터 5월 말까지 모든 학생이 데이터요금부담 없이EBS 등 주요 교육사이트를스마트폰으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사용량을 차감하지않았다. ※ (참고) 교육부·과기정통부 보도, ‘모든 학생을 위한 원격교육 환경 구축에 총력’(20.4.1.) ㅇ 그 결과, 3월 대비이들 사이트의 모바일 트래픽은 5~11배가까이 늘어 온라인 개학의 원활한 진행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 통신3사의 EBS 등 5개 교육사이트(E..

혹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야기 들어보셨나요? 설마 내 얘기는 아닌지 한번 확인해보세요! 스마트폰 없이는 너무너무 불편한 일상생활, 혹시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해지지는 않나요? 교육부와 행정안전부, 그리고 문방구TV가 스마트폰 중독 의심 유형을 직접 알려드립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유형에 해당되는지 영상으로 확인하고, 자신의 유형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교육부 #스마트폰 #중독 #유형 #어린이 #문방구TV #학생 #청소년 #집착 #게임 #메신저 #스몸비 #후유증

[#나우미래] 열 여덟번째 이야기는 #최재붕 위원과 함께합니다. 현재 대한민국 인구의 95% 이상이 #스마트폰 을 쓴다고 합니다. 우리가 스마트폰을 쓰는 이유는 뭘까요? 오늘 영상의 주인공은, 스마트폰을 쓰는 것이 곧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그는 우리가 적은 에너지로 더 많은 일을 하기 위해, 결국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에 스스로 스마트폰을 선택했으며, 이것은 곧 스마트폰을 신체의 일부처럼 쓰는 새로운 인류의 탄생, 신인류로의 '진화'를 의미한다고 하는데요. 스마트폰의 등장과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의 도래로 인류는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30년동안 변화가 없던 시장 생태계가 절반이 완전히 깨져나가고 절반은 새롭게 구축되고 있으며 나아가 우리의 뇌까지 바꾸는 새로운 혁명이..

[나우미래] 열 다섯번째 이야기는 #안서형 위원과 함께합니다. 게임을 좋아하던 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은 즐겨하던 플래시게임이 대기업이나 전문가가 아닌 학생이 만들었다는 사실에 굉장히 충격을 받고, 컴퓨터 게임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스마트폰이 출시된 중학생 이후에는 내가 만든 앱을 많은 사람들이 써주면 좋겠다는 생각에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만들었지만 실제 앱 개발로 이어질 순 없었죠. 그래서 꿈을 실현하기 위해 IT 특성화고로 진학했습니다. #특성화고 에서 공모전 참여를 위해 만들었던 '비트바이트'라는 팀과 청소년 언어습관 개선 앱인 '#바른말키패드'는 뜨거운 반응으로 지금의 '비트바이트' 창업의 시작이 되었는데요, 지치고 힘들고 엄청난 책임감을 요구하는 '세상 모든 어려움의 종합선물세트..

[나우미래] 열한 번째 이야기는 #임승혁 위원과 함께합니다. '휴대폰 은행업무 좀 봐주세요' 손만 대면 척척 해결되는 편리함 그 자체인 것 같지만 앞이 보이지 않는 사람에게는 불편하고 어려운 '#터치스크린' 시각장애인에게도 터치스크린을 선물하자는 일념으로 #진동점자 개발에 뛰어든 사람이 있습니다. 볼 수는 없지만 충분히 기민한 손, 스마트폰을 만지는 손에 힌트를 얻어 탄생한 진동 점자 시스템. 스마트폰 화면 아무 곳이나 문지르기만 하면 진동을 통해 점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스마트폰진동점자 는 누군가에게는 신기한 장난감이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큰 선물이었습니다. 이젠 앞을 볼 수 없어도 더 이상 남의 도움 없이 읽고 느끼고 쓸 수도 있는 '맞춤형 터치스크린' 어쩌면 휴대폰을 만질 때마다 느..

"시리야! 빅스비! 교육부 블로그 검색해줘~" 우리에게 신세계를 열어준 스마트폰, 바르게 사용하고 있나요? 스마트폰 사용 자가 진단부터 스마트폰 바른 사용 10계명까지! 미디어 바른 사용설명서 1편 "스마트폰 잘쓰기" 함께 볼까요?
스마트폰 화면은 어떻게나를 따라 움직일까요? ■ 나를 따라 움직이는 스마트폰 화면여러분은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요? 스마트폰을 기울였을 때, 내가 보고 있던 화면이 자동으로 회전되어 보여지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스마트폰을 왼쪽으로 기울였는지, 오른쪽으로 기울였는지에 따라 알아서 화면을 회전시켜 주는 스마트폰을 보면, ‘혹시 스마트폰이 나를 보고 있는 걸까?’라는 착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이러한 기술의 비밀은 무엇일까요? ▲ 방향에 따라 화면을 회전시켜 주는 스마트폰(출처: 에듀넷) ■ 디지털 기기의 중력 센서(감지 장치) 사람이나 동물들은 몸속의 평형 감각 기관에서 중력을 감지하여 우리가 비틀거리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여 걸을 수 있도록 조절해 주는데, 이처럼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