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중국 (32)
교육부 공식 블로그

중국 입국 유학생 관리방안 1. 교육부 조치 현황 가. 전체 대학 대상 후베이성 방문자 현황 조사 및 자가격리 조치 실시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위기관리 단계가 ‘경계’로 격상됨에 따라 ’20. 1. 28.~30. 총 3일간 전체 대학, 전문대학* 대상 중국 후베이성 방문자(유학생, 한국학생, 교직원)에 대한 현황 조사 실시하는 한편, 중국 후베이성 방문 학생, 교직원에 대해 입국 후 14일간 자가격리(등교중지) 요청 및 증상 발생 시 대응요령 등을 안내 * 교육부 외 타 부처 소관 고등교육기관 포함 총 415개 대학 조사 ◦ 242개 대학(회수율 86.7%)에서 ’20. 1. 28. 현재 최근 14일 이내(1. 13. 이후) 중국 후베이성(우한 포함)을 방문하고 입국한 학생·교직원은..

학령기교육을 넘어 평생교육, 저출산·고령화 분야로 협력범위 확대 3국 청소년 등 인적 교류 및 고등교육 협력 강화 지속 추진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1월 10일(금), 중국 북경에서 개최되는「제3회 한·일·중 교육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한다. 유은혜 부총리는 이날 개최되는 3국 교육장관회의에서 한·일·중 3국 간 교육협력에 기반한 공동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3국의 교육협력 강화를 위한 공동성명서에 서명할 예정이다. 또한, 유은혜 부총리는 본 회의에 앞서, 중국 천바오성(陳寶生) 교육부장과의 한-중 양자회담, 일본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문부과학대신과의 한-일 양자회담에 차례로 참석하여 양국 간 교육협력 방안에 대해 각각 논의할 예정이다. 주요 내용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는..

제5회 한·중인문학포럼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 - "한·중 인문학 : 상호 교류의 성과와 창조적 발전"이란 대주제로 포럼 개최 -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3·1운동 100년이 회고'를 주제로 발표와 토론도 진행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중국사회과학원과 함께 11월 22일(금)~23일(토) 이틀간 「제5회 한·중인문학포럼」을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한다. 한․중인문학포럼은 2013년 우리나라와 중국 정상 간의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 채택에 따라 2015년 서울에서 개최된 후, 매년 개최*하여 양국의 인문학 발전과 협력을 위한 대표적인 포럼으로 자리매김해왔다. * 제1회(서울), 제2회(북경), 제3회(서울), 제4회(북경) 개최 ※ 제1~4회 참석자..
북한의 지리적 특성 ■ 북한의 바다를 탐내는 중국과 러시아▲ 북한의 위치 지도(출처: 에듀넷) 북한은 지리적으로 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 멀게는 미국까지 주변국이 모두 강한 국력을 가진 나라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북한의 주변국들은 자기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들과 북한의 관계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죠. 특히 세계 최강국의 자리를 노리는 중국과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강대국인 러시아, 이 두 대륙이 북한의 바다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오래 전 북 · 중 어로협정을 맺어 북한의 바다에서 어업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으며, 러시아는 수시로 전폭기를 동해로 출격시켜 정찰 및 훈련과 함께 무력시위를 하고 있습니다. 이 두 나라에서 북한의 바다에 관심을 갖고, 호시탐탐 노리는 이유..
2015년 한중일 캠퍼스 아시아 사업 참가자UCC 공모대회 당선작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장관 황우여)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부구욱)는 2015년 한중일 캠퍼스 아시아(CAMPUS Asia) 사업 참가경험 UCC (User Created Contents) 공모 대회 수상자를 발표했습니다. 한중일 CAMPUS* Asia 사업은 2010년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신규 협력 사업으로 채택된 사업으로서, 3국 교육부가 공동으로 지원하는 대학생 교류 프로그램입니다. * Collective Action for Mobility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s in Asia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동 사업은 한-중-일 3국의 대학들로 구성된 10개의 컨소시엄* 단위로 운영되며, 참여 학..
우리나라에 산성비가내리는 까닭은? ■ 전세계의 불청객 산성비해마다 봄이 되면 생명이라는 반가운 손님이 우리를 찾아옵니다. 새싹이 움트고, 각종 꽃들이 피어나 봄이 왔음을 알리지요. 그러나 봄마다 우리를 찾아오는 불청객도 있습니다. 바로 바람을 타고 먼 곳에서 날아오는 황사와 미세 먼지입니다. 황사는 매해 3~5월에 중국과 몽골의 사막 지역에서 편서풍을 타고 날아오는 모래 먼지이고, 미세 먼지는 중국의 공장 지대에서 편서풍을 타고 불어오는 매연입니다. 하늘이 황사와 미세 먼지로 뿌옇게 되면 외출도 힘들어지고, 무엇보다 건강에 매우 안 좋다고 하니 참으로 야속한 불청객이라 할 수 있겠지요. ▲ 황사 현상(출처: 에듀넷) 그러나 중국으로부터 우리를 찾아오는 불청객은 황사와 미세 먼지뿐만이 아닙니다. 또 다른 ..
세계 여러나라지하철의 모습 ■ 우리나라의 지하철여러분은 지하철을 타본 적이 있나요? 지하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 지하철 노선도(서울)(출처: 에듀넷) 바로 지하철 노선도입니다. 지하철 노선도에서는 지하철을 통해 갈 수 있는 다양한 역들의 이름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의 지하철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1~9호선까지의 노선을 모두 합치면 그 길이가 세계 3위라고 합니다. 게다가 공항철도, 분당선, 각 지역의 경전철까지 합치면 그 규모는 엄청나다고 할 수 있죠. ■ 일본의 지하철복잡한 지하철의 광경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곳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가까운 이웃나라 일본의 지하철 연 이용객은 2013년 기준 33억 3,400만 명에 달하여 세계에서 가..
중국의전통 가옥, 토루 ■ 독특한 모습을 한 객가족의 흙집, 토루(土樓)중국은 광활한 영토에 다양한 기후와 민족이 분포하고 있어 그에 따른 전통 가옥의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세상의 모든 가옥 형태가 중국에 다 모여 있다고 해도 될 만큼 중국의 전통 가옥은 지역적 조건과 민족에 따라 각기 다릅니다. 중국의 전통 가옥은 기본적으로 북부 지방의 베이징을 중심으로 하는 한족의 사합원 형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가옥의 구조를 살펴보면 동서남북은 방으로 둘러싸고, 중앙에는 네모난 정원을 두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각 지역의 지리적 조건에 맞게 형태나 그 기능이 조금씩 다릅니다. 예를 들면, 기온이 낮은 북부 지역의 사합원은 정원을 크게 만들어 최대한 햇빛을 많이 받게 하였고, 기온이 높은 남부 지역의 사합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