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0/12 (164)
교육부 공식 블로그

- 2020년 국립대학 양성평등 지원 사업 성과 토론회 개최 - ◈ 국립대학 교원임용 양성평등 정책의 추진 성과 공유·확산 ◈ 국립대 평가 결과를 공표하여, 대학의 양성평등 책무성 향상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국립대학 양성평등 확산을 위한 성과 및 우수 사례 공유를 위해, 12월 4일(금)에 「2020년 국립대학 양성평등 지원사업 성과 토론회(심포지엄)」을 비대면(온라인)으로 개최한다. 교육부는 국립대학 교원임용의 양성평등을 위해 지난 7월 14일(화)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된 「교육공무원임용령」일부개정령안(2020.7.30. 시행)을 통해, 비율이 적은 성별(여성 교원)이 2030년까지 25%에 도달하도록 연도별 목표 비율을 구체화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국립대학 양성평등..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출제 방향 1교시 : 국어 1교시 : 국어 영역 출제의 기본 방향 국어 영역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고시제2015-74호)에 기초하여 ‘대학 수학(修學)에 필요한 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평가 목표는 2018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 평가 문항은 국어 영역의 출제 과목인 ‘화법과 작문’, ‘언어’(’언어와 매체‘ 과목 중 언어 부분), ‘독서, ‘문학’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평가 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개발하였다. ◦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이해력, 출제 과목별 교과서를..

◈ 지자체와 대학 간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협업체계를 구축하고, 고등교육 관련 규제특례 적용이 가능한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을 지정하는 근거 규정 마련 ◈ 성범죄로 처벌 받은 경우 교원 자격 취득을 제한하고, 성비위 등으로 징계처분을 받은 경우 학급담당교원에서 배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제382회 국회(정기회) 본회의에서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등 15개 법안이 12월 2일(수)에 의결되었다고 발표했다. 여기에는 지자체와 지역의 대학, 기업, 연구소 등이 함께 지역을 혁신할 수 있도록 협업체계를 구축·운영하는 것을 지원하고 고등교육과 관련된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본회의를 통과한 15개 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

◈ 모든 학생을 위한 학습 안전망 확충, 한국판 뉴딜, 교육비 부담 경감,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에 중점투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12월 2일(수)에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2021년도 교육부 소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이 2020년 추가경정예산 75조 7,317억 원 대비 7,328억 원 증액된 76조 4,645억 원으로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국회 심의과정에서 유아교육비 보육료사업은 누리과정 지원 단가가 2만 원 인상되면서 2,621억 원이 증액되었다. ※ 유치원 유아학비 : (공립) 月 6 ⟶ 8만 원, (사립) 月 24 ⟶ 26만 원어린이집 보육료 : 月 31 ⟶ 33만 원 또한, 강사의 고용안정을 위한 사립대학 강사 처우개선사업은 정부안 대비 104억 원 증가한 369억 원으로..

지난 10월 5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금산중앙초등학교를 방문하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국어, 수학 수업에 참관하고 초등 「교육 안전망」 현장 점검과 간담회를 진행했습니다. 이날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코로나19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학습결손 및 격차를 초등 저학년 단계부터 방지하기 위한 정책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교원, 학부모와 소통을 통해 원격·등교수업의 효율화 방안을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처럼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교육부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부터 학습결손 및 격차를 방지하기 위해 초등 학습 안전망을 강화하는 한글·수학 책임교육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크게 저학년 학습 안전망 확보를 위한 한글 해득 수준 진단 보정 학습 프로그램과 인공지능 수학 시스템..

아마 여러분들도 장애 학생을 위한 취업, 발달 재활, 교육, 보호 등 지원 서비스를 각 공공기관이나 학교에서 제공하고 있다는 걸 잘 아실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조금 더 특별하게 장애학생이 아닌 장애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상세하고 풍부한 양육 정보를 제공하는 장애자녀 부모지원 종합시스템 ‘온맘’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본격적으로 ‘온맘’에서 제공하고 있는 주요 서비스를 설명하기에 앞서 ‘온맘’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온맘’ 소개 장애자녀 부모지원종합시스템인 ‘온맘’은 2019년 상반기에 교육부 산하기관인 국립특수교육원으로부터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장애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건강, 교육, 관련 서비스 등에 대한 부모를 위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양육 정보를 제공..

◈ 2021학년도 수능시험 준비상황 - 별도시험장 113개, 거점병원 25개, 생활치료센터 4개 마련 - 12월 1일 현재 확진 수험생 37명, 격리 수험생 430명 ◈ 학원·교습소 내 접촉자 확진 학원 정보 공개(2개 학원) ◈ 등교수업일 조정 현황[12.2.(수) 10:00 기준] - 12개 시·도 181교 등교수업일 조정 ※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원격수업 전환학교는 미포함 ◈ 학생 미등교 사유 및 진단검사 현황[12.2.(수) 00:00 기준] - 등교 이후 확진자 누계 12.1.(화) 00시 대비 학생 41명, 교직원 5명 증가 【누계 1,644명(학생 1,381명, 교직원 263명) ※ (학생) 11.30. 7명, 12.1. 34명 ※ (교직원) 11.30. 1명, 12.1. 4명 1. 2021..

‘인재’는 필요한데, ‘채용’이 어려우신가요?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에 부합하는 사원, 찾기 힘들다면 새로운 방법으로 ‘채용’을 시작해보세요! 기업이 원하는 기술을 가지고, 일하는데 필요한 이론을 이미 다 습득한 인재, 없다면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를 통해 만들어보세요! Q.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로 원하는 인재를 만들다? A.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는 대학 입학 과정부터 기업이 함께 참여하여 학생을 인재로 키워내는 신개념학과입니다. 교육부 육성사업으로 지원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학과들로만 구성되어 있어 경쟁력 있는 인재를 조기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개발에 기업이 참여하는 등 기업과 대학이 함께 인재를 키워낼 수 있어 신입사원 교육에 투입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채용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