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과학 (320)
교육부 공식 블로그
호흡 기관의구조와 기능 코와 입을 통해 들어온 공기는, 기관을 지나고 기관지를 거쳐 폐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처럼 공기가 거쳐 가는 입, 코, 기관, 기관지, 폐를 통틀어 호흡 기관이라고 합니다. ▲ 호흡 기관의 구조와 기능(출처: 에듀넷) 코와 입으로 들이마신 공기는 엄지손가락 굵기의 기관을 타고 내려온 다음 두 가닥으로 나뉘는 기관지를 지나 각각 좌 폐와 우 폐로 전달되게 됩니다. 폐로 전달된 공기는 나뭇가지처럼 폐 전체에 퍼져 있는 세기관지를 통해서 공기주머니라고 불리는 폐포로 들어가게 되고 폐포에서 우리 몸에 필요한 산소와 필요하지 않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와 같은 호흡 운동을 통해 우리는 건강하게 숨 쉴 수 있는 것이랍니다. ▲ 호흡 기관의 구조(출처: 에듀넷) 이처럼 산소를..
생활 속 용액의 이용 ■ 겨울철 필수품 핫팩추운 겨울이면 장갑으로 목도리로 중무장을 해도 칼날처럼 스며들어오는 겨울바람에 손과 발은 항상 꽁꽁 얼어붙어 있습니다. 그래서 겨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핫팩. 단순히 장갑 등으로 바람을 막고 내 체온을 유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발열을 통해 따뜻함을 느낄 수 있기에 추운 한겨울이면 많은 사람들이 손에 핫팩을 들고 다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핫팩 중에는 액체로 된 것도 있습니다. 액체형 핫팩의 금속 똑딱이를 몇 번 꺾어 주면 핫팩 속에 들어 있던 액체가 순식간에 굳으며 열을 발생시키는데 겨울이면 우리와 함께할 액체형 핫팩의 원리에 대해 알아볼까요? ▲ 액체형 핫팩(출처: 에듀넷) 액체형 핫팩은 '하이포'라고 불리는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이용합니다. 하이포는 ..
신경계와 미래 ■ 신경계의 구성우리는 우리 몸 안팎에서 주어지는 자극에 대해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는데, 이것은 신경계의 기능 덕분입니다. 소리 내어 책을 읽고, 스포츠 경기를 할 수 있고, 친구와 대화를 할 수 있는 것 모두 신경계가 없으면 불가능하겠지요. 신경계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뇌와 척수를 포함하는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들을 포함하는 ‘말초 신경계’가 바로 그것입니다. 중추 신경계를 구성하는 뇌와 척수는 신경 정보들을 통합하고 명령을 내리는 중추 역할을 합니다. 중추 신경계의 뉴런들은 말초 신경계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통합하고, 이 정보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결정합니다. 중추 신경계는 이런 복잡한 행동을 처리하기 위해서 중간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중추..
고체 혼합물의 분리 ■ 대추를 크기별로 골라 보아요.농가에서 대추를 수확한 후 크기별로 대추를 골라 내어 판매합니다. 많은 양의 대추를 사람의 힘으로 분리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크기를 일정하게 분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추의 크기를 분류하기 위해 선별기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이 선별기에는 차례로 크기가 점점 커지는 구멍이 있습니다. 대추가 그 선별기 위를 지나가면서 작은 대추부터 차례로 빠져나와 크기별로 분류가 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크기가 다른 물질들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대추 선별기(출처: 에듀넷) 새끼 물고기는 놓아주어요.물고기를 잡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그물로 고기를 잡게 되면 한꺼번에 여러 마리를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때, 그물코의 크..
연못이나 강가에 사는 식물 ■ 창포 - 물가에 사는 식물창포는 주로 습한 연못이나 개울가에서 잘 자랍니다. 가로로 뻗는 굵은 땅속줄기가 있고 잎은 땅속줄기 끝에 뭉쳐 곧게 자랍니다, 잎의 길이는 50~90cm 정도로 가늘고 긴 모양이며, 딱딱합니다. 꽃은 연한 황록색으로 원기둥 모양으로 잎에서 비스듬히 옆으로 올라옵니다. 긴 타원형인 열매는 7~8월경에 달립니다. 창포는 뿌리와 잎에 짙은 향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단오날에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 창포(출처: 에듀넷) ■ 생이가래 - 물 위에 사는 식물생이가래는 논과 늪 또는 연못 등의 물 위에 떠서 자라는 식물로, 수면 전체를 덮을 정도로 밀집하여 분포합니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길이가 10cm 정도입니다. 한 마디에 3개의 ..
사막, 바닷가,갯벌에 사는 식물 ■ 다육 식물 - 사막에 사는 식물건조 기후나 모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다육질의 잎에 물을 저장하고 있는 식물을 다육 식물이라고 합니다. 선인장, 알로에, 돌나물과 등의 많은 식물군이 이러한 다육 식물에 포함됩니다. 다육 식물은 내부에 물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식물에 비해 통통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잎이 가시 형태이고 퇴화되어 작거나 없기도 하며 기공의 갯수도 적습니다. 또한 뿌리가 땅 표면 바로 근처에 존재하여 적은 양의 비나 이슬에도 물기를 빨아들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점액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높은 온도에도 충분한 물을 머금고 있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다육식물(선인장 / 백토이)(출처: 에듀넷) ■ 통보리사초 - 바닷가에 사는..
지속가능한 발전 ■ 전 세계 국가 발전의 핫 이슈! 지속가능한 발전 ▲ 지속가능한 발전(출처: 에듀넷) 지속가능한 발전은 환경 친화적인 의미와 경제적인 의미를 모두 지니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경제 활동이 주로 자원 소모적이며 자연의 수용 능력을 초월하는 개발에 중점을 둔 것이었다면, 지속가능한 발전에서의 경제 활동은 자연 생태계의 범위 내에서 자연의 수용 한계를 넘지 않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201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지속가능발전회의(UNCSD)’에서는 2015년 이후 국제사회가 추구해야할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를 경제,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가 균형 있게 성장하는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성장으로 설정하였습니다. 200..
렌즈의 모양과 빛의 굴절 ■ 볼록렌즈 역할을 하는 우리 눈의 수정체 제 2의 뇌라 불리는 눈. 눈이 빛을 받아들여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하면 우리는 사물을 인식하게 됩니다. 이러한 눈은 빛을 모아 주는 각막, 빛의 양을 조절해 주는 홍채, 빛을 굴절시켜 주는 수정체, 상이 맺히는 망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눈의 구조(출처: 에듀넷) 우리가 물체를 정확히 보려면 망막에 상(물체의 모습)이 정확히 맺혀야 합니다. 이를 위해 건강한 수정체는 멀리 있는 것을 볼 때는 편평하지만 가까운 것을 볼 때는 볼록해지면서 빛을 굴절시켜 초점을 조절해 줍니다. 즉, 수정체가 렌즈의 역할을 하는 것이지요. 할아버지나 할머니께서 신문이나 책을 보실 때 돋보기를 사용하시는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왜 나이가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