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과학 (320)
교육부 공식 블로그
엘니뇨와 라니냐 엘니뇨 남미의 페루 근처 해역은 난류보다는 한류의 흐름이 강한 지역으로 페루 한류가 흐르기 때문에 수온이 낮습니다. 하지만 이 지역에 북쪽으로부터 난류인 적도 해류가 강하게 밀고 들어와 해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게 됩니다. 이처럼 동태평양의 수온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엘니뇨’라고 합니다. 엘니뇨는 스페인어 로 ‘예수’라는 뜻인데, 엘니뇨가 크리스마스 전후로 발생하고, 평소에 못 보던 난류성 물고기들이 많이 잡혀 ‘Oh My god'이라는 어부들의 말에서 생겨났다고 합니다. 엘니뇨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수온은 기후에도 영향을 줍니다. 정상 상태에서는 남미의 페루 근처 해역에 차가운 물이 흐르기 때문에 공기가 하강하고 이 하강한 공기가 태평양 서쪽으로 가게 됩니다. 그 ..
염분의 변화 염분은 지역에 따라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변할 수 있습니다. 염분을 낮출 수 있는 조건으로는 강수량과 강물의 유입이 있습니다. 비가 많이 오게 되거나, 담수인 강물이 바다로 들어오면, 바닷물 속의 염류의 양에는 변화가 없지만 물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염분이 낮아집니다. 반면에, 염분이 높아질 수 있는 조건으로는 증발량이 있습니다. 증발이 활발하게 일어나면 바닷물 속의 염류의 양은 변화가 없지만 물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염분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강수량과 증발량은 염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또, 염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는 결빙량과 해빙량이 있습니다. 바닷물이 얼 때는 순수한 물만 얼게 되기 때문에 바닷물이 어는 양, 즉 결빙량이 많아지..
지진대 우리 지구는 하나의 동그란 땅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조각의 지각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지각판들이 가만히 있지 않고 조금씩 조금씩 움직이면서 지구에는 여러 가지 변화들이 일어납니다. 그 중 한 가지가 바로 지진입니다. 전 세계 곳곳에서 크고 작은 지진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유난히 더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 있습니다. 이 지역들을 연결해 보면 띠 모양이 되는데, 이러한 지역을 ‘지진대’라고 부릅니다. 세계에서 유명한 지진대는 환태평양 지진대와 알프스-히말라야 지진대가 있습니다. 이러한 지진대는 주로 지각판의 경계선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지구상의 주요 지각판과 움직이는 방향(출처: 에듀넷) 환태평양 지진대 (Circum-Pacific seismic Belt, Rin..
지층이란? ■ 지층의 생성지층이란 무엇일까요? 땅에 있는 모래, 자갈, 진흙은 물을 따라 흘러가다 호수나 강, 바다의 밑바닥에 쌓이게 됩니다. 이러한 흙, 모래, 돌 등과 같은 퇴적물이 층층이 쌓인 후 굳어져 만들어진 층을 ‘지층’이라고 합니다. 그럼 이러한 지층은 왜 생길까요? 그 이유는 오랜 시간에 걸쳐 여러 종류의 흙들이 쌓이고 돌처럼 굳어지기 때문인데 강물에 실려 온 자갈이나 모래, 진흙 등은 강의 하류나 흐름이 느린 곳에 쌓이게 됩니다. 이러한 퇴적물은 운반된 순서대로 쌓이다가 오랜 시간이 흐르면 그 무게 때문에 압력이 생겨서 점점 단단해집니다. 보통 지층이 만들어지는 데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지층은 늘 아래에서 위로 차례차례 쌓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아래쪽에 있는 지층일수록 오래된 것..
잎의 구조와하는 일 ■ 잎의 구조잎은 넓적한 잎몸과 길쭉한 잎자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잎몸은 잎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햇빛을 받기 쉽도록 편평한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엽록체 때문에 대부분 녹색입니다. 잎몸에는 잎맥이 있는데 잎맥은 잎의 형태를 유지해 주며, 줄기에서 올라오는 물을 잎몸 구석구석으로 전달해 줍니다. 잎자루는 잎몸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잎자루와 줄기가 만나는 곳에는 조그만 잎처럼 생긴 턱잎이나 잎자루 또는 잎을 감싸는 잎집이 달리기도 합니다. 잎의 표피는 잎 속의 물이 바깥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큐티클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기가 들어가고 나가는 조그만 구멍인 기공이 있습니다. 기공은 보통 잎 위쪽보다 아래쪽에 많지만 물속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이와 반대입니다. ▲ 잎의 구..
씨앗 대부분의 식물은 씨앗을 퍼트려 자손을 남기고, 자신과 같은 종류의 식물을 지구상에 보존합니다. 이러한 식물을, 씨앗(종자)을 가진 식물이라는 의미로 ‘종자식물’, 또는 ‘꽃식물’이라 부릅니다. 이러한 종자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약 20여 만 종에 이르며 다양한 방법으로 씨앗을 퍼뜨립니다. 반면, 꽃을 피우지 않고, 씨 대신 포자로 번식하는 식물도 있는데, 이런 식물을, 포자로 번식한다고 하여, ‘포자식물’ 또는 ‘민꽃식물’이라 합니다. 포자식물(민꽃식물)로는 고사리, 버섯, 우산이끼 등이 있습니다. 그럼, 다함께 지구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종자식물(꽃식물)의 씨앗에 대해 알아봅시다. ■ 씨앗은 어떻게 싹을 틔울까?씨앗은 성숙하면서 휴면 상태가 되어 외부 환경에 잘 견딜 수 있게 되고, 수분과 온..
중력 가속도 ■ 중력 가속도란 무엇일까?지구 안에 있는 물체는 언제나 지구로부터 중력을 받고 있습니다. 이때, 물체가 받는 중력의 크기를 ‘무게’라고 부르는데, 무게란 지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중력의 크기입니다. 뉴턴의 운동 법칙 중 가속도의 법칙에 따르면 힘(F)은 물체의 질량(m)과 가속도(a)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력도 힘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중력에 의해 나타나는 가속도를 중력 가속도라고 합니다.공식을 보면, 중력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는 중력이 서로 작용하는 두 물체의 질량과 두 물체 사이의 거리가 있습니다. 즉, 중력의 크기는 두 물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두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 커집니다. ▲ 중력의 크기(출처:..
속력 측정 장치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과속 단속 카메라에는 고정식 단속 카메라와 이동식 단속 카메라가 있습니다. 그럼 먼저 고정식 과속 단속 카메라에 대해 살펴볼까요? 고정식 과속 단속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찍히지 않으려고 위의 카메라에 집중하게 되지만 사실 운전자의 ‘과속 여부’는 차가 지나가고 있는 ‘바닥’이 알고 있습니다. 고정식 과속 단속 카메라가 설치된 지점의 도로를 살펴보면 바닥에 네모 모양으로 그어진 금 두 개가 10~20m 간격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네모난 금 아래쪽에 과속 감지 센서가 깔려 있는데 차가 지나갈 때 그 센서에 흐르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차의 과속 여부를 가려 내는 것입니다. 그 원리는 첫 번째 센서를 통과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