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과학 (320)
교육부 공식 블로그
빛의 굴절을 이용한 착시 현상 ■ 빛의 굴절을 이용한 착시 현상 빛의 굴절 때문에 물체의 위치나 크기가 달라져 보이는 현상은 우리 생활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물 컵에 빨대를 넣으면 빨대가 꺾여 보이는 현상, 계곡이나 풀장의 물의 깊이가 실제보다 얕아 보이는 현상, 물 속에 있는 다리의 길이가 짧아 보이는 현상 등은 모두 빛의 굴절로 인한 것입니다. ▲ 빛의 굴절로 인한 현상(수심이 얕아보이는 현상 / 다리가 짧아보이는 현상)(출처: 에듀넷) 또 굴절은 헛것이 보이게도 합니다. 사막에서 만나는 신기루가 바로 그것입니다. 사막을 지나는 지친 나그네들에게 오아시스는 생명수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가끔 실제로는 아무것도 없는데 마치 오아시스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신기루랍..
유수에 의한지표의 변화 ■ 곡류의 생성과 유수의 침식 작용유수는 지표를 따라서 흐르는 물을 말합니다. 유수는 하천을 따라 흐르면서 지표면을 침식시키고 침식물을 운반하여 쌓아 두기도 하며 바다에 이릅니다. 따라서 유수는 오랜 시간에 걸쳐 지표의 모양을 크게 변화시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곡류가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물이 흐르면서 곡류의 바깥쪽은 안쪽보다 물의 흐름이 빨라지기 때문에 많이 깎이게 되고 하천의 깊이도 가장 깊어집니다. 곡류의 안쪽은 물의 흐름이 느려 운반된 물질이 쌓이게 됩니다. 우리나라에 대표적인 곡류로는 안동시 하회 마을 주변의 곡류와 우리나라 지도 모양을 만들고 있는 강원도 영월군의 곡류가 있습니다. ▲ 강원도 영원굴의 곡류가 만들어 낸 미니 한반도(출처: 에듀넷) 유수는 큰 기반암에서..
흙의 생성 ■ 풍화 작용지표에 노출된 암석이 작게 부서지거나 성질이 변하는 것을 '풍화'라고 합니다. 풍화 작용은 암석의 입자를 잘게 부수는 '기계적 풍화'와 암석을 녹이거나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화학적 풍화'가 있습니다. 기계적인 풍화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집니다. 암석의 틈 사이로 스며든 물이 얼면 부피가 팽창합니다. 물이 얼어 부피가 늘어나면 암석의 틈 사이가 더 벌어지고 암석이 갈라지게 됩니다. 암석의 틈 속에서 뿌리를 내린 식물이 자라면서 뿌리가 굵어져 암석을 갈라지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하 깊은 곳은 압력이 높지만 지표면 근처는 압력이 낮습니다. 지하 깊은 곳에 있던 암석이 노출되면 압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암석이 갈라지거나 양파 껍질처럼 벗겨지게 됩니다. 화학적 풍화는 물,..
학교에서 탐구하는 라면 속 과학 익산 원광여자중학교의 한 젊은 선생님은 아이들과 재미있게 과학 수업을 할 기대에 부풀어 있었습니다. 열심히 교재를 연구하고 수업 준비한 내용을 아이들에게 전달했지만, 교과서에 있는 내용만으로는 지식과 재미 두 가지 토끼를 잡기엔 역부족입니다. ‘실험’과 ‘탐구’를 통해 아이들이 직접 접하고 생각할 수 있는 과학 교육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던 어느 날, 선생님은 공문 하나를 전달받았습니다. 공문에는 청소년 과학 탐구반(YSC)에 대한 내용이 있었는데요. 선생님은 공문 가장 앞 쪽에 있는 YSC에 대한 설명 중 “청소년들이 직접 과학탐구활동에 참여하여…”라는 문구를 보고 ‘재미있는 주제를 선정해서 아이들과 즐겁게 과학 공부를 해볼까?’ 생각했고, 곧바로 신청서를 작성했습니다...
지구의 생김새 ■ 지구의 모습우주에서 지구를 찍은 위성 사진을 통해 보면 지구의 모양은 둥근 모양입니다. 지구는 우주에서 봤을 때 푸른 색의 바다, 녹색과 갈색의 육지, 흰색 구름이 섞여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지구의 표면은 다양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산, 들, 강과 같이 육지와 관련된 지형과 바다, 강, 호수와 같이 물과 관련된 지형이 있습니다. 지구의 지형은 크게 육지와 바다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닷속의 모습도 육지의 모습과 같이 높은 곳과 편평한 곳, 움푹 패인 곳 등 다양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우주에서 본 지구(출처: 에듀넷) 지구 주변은 공기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러한 지구 주위를 둘러싼 공기층을 대기라고 합니다. 대기가 있어 동식물들이 숨을 쉬고 살 수 있습니..
단세포 생물 대부분의 생물의 몸체는 무수히 많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세포 생물은 이러한 무수히 많은 세포들이 각각의 위치에서 제 역할을 올바로 수행할 때, 생명을 유지해 갈 수 있습니다. 반면, 하나의 세포만으로 이루어진 생물도 있습니다. 단세포 생물이 그것입니다. 단세포 생물은 세포 하나가 생명 유지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수행합니다. 원핵생물, 원생생물, 균류 등이 대부분 단세포 생물입니다. 거의 모든 단세포 생물은 맨눈으로는 볼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작지만,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 단세포생물도 있습니다. ‘크세노피오포어(Xenophyophore)’와 ‘시링감미나 프라길리시마(Syringammina fragilissima)’라는 복잡한 이름을 가진 단세포 생물은 크기가 큰 단..
2015 개정 교육과정 마련을 위한 제2차 공청회 개최- 수학, 과학, 환경, 정보, 실과(기술·가정),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의견수렴 - 교육부는 8월 31일(월) 오후(14:00~17:00) 한국교원대에서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교과교육과정 연구팀과 공동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문‧이과 통합형) 제2차 공청회」를 개최하고, 수학, 과학(통합과학), 환경, 정보, 실과(기술·가정),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 시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청회는 교과별 시안에 대한 공개 토론회(‘15.4.15~5.6) 및 1차 공청회(‘15.7.30~8.14) 등을 통해 제기된 현장 의견을 반영하여, 교육부 차원에서 최종 시안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로 ..
세포 소기관 세포는 생물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창문 밖으로 보이는 나무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우리 몸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러분의 손등을 한번 들여다보세요. 무수히 많은 가로줄, 세로줄, 대각선줄이 보입니다. 세포가 보이는 것 같으시나요? 세포는 매우 작기 때문에 맨눈으로는 볼 수가 없습니다. 약 10~100㎛의 크기를 가지는 세포는 현미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작은 세포 속에는 더 작은 여러 가지 기관들이 들어 있습니다. 이렇게 세포 안에 들어 있는 작은 기관들을 ‘세포 소기관’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세포 소기관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것들은 세포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함께 알아봅시다. 세포핵‘세포핵’은 모든 진핵생물의 세포에서 찾을 수 있는 세포 소기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