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과학 (320)
교육부 공식 블로그
헬리코박터파일로리 ■ 위에도 생명체가 살 수 있을까?우리의 위는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매일 섭취하는 음식과 함께 끊임없이 세균과 곰팡이, 유해 물질이 위에 들어옵니다. 위는 이러한 세균과 곰팡이를 제거하기 위해 강산성의 소화액을 분비하여, 위 내부 환경을 청정하게 유지합니다. 실제 위에서 분비되는 염산은 pH 1.5~2.0의 강한 산성을 띠고 있으며, 이 정도의 산도에서는 손톱이 녹을 정도입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산성 환경에서는 어떠한 생명체도 살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음식물과 세균 등으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우리의 위(출처: 에듀넷) 그런데 1983년 오스트레일리아의 과학자 배리 마셜(Barry Marshall)과 로빈 워렌(Robin Warren)은 위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
왜 여자보다남자에게적록 색맹이많을까? ■ 색각 이상 검사표아래의 그림은 색각 이상을 검사하는 도구입니다. 혹시 잘 보이지 않는 숫자가 있나요? ▲ 색각 이상 검사표(출처: 에듀넷) 색각 이상이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색깔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그 정도에 따라 색맹과 색약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운전면허를 취득하려면 신체검사에서 색채 식별 검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그런데 색채 식별 검사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더 많이 탈락합니다. 선천적인 색각 이상은 유전에 의해 나타나는 유전병인데, 이 유전병은 남자에게 더 많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색각 이상이나 혈우병 등과 같은 유전병은 성에 따라 그 발병률이 차이가 납니다. 이 유전병들은 왜 성에 따라 발병률이 차이가 날까요? ■ 적록 색맹이..
상염색체에의한 유전 ■ 보조개여러분들, 혹시 보조개가 있나요? 대부분 사람들은 환한 웃음과 함께 귀여운 보조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보면 호감을 갖습니다. 이러한 보조개는 유전일까요? 보조개도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유전 형질 중의 하나입니다. 만약 어머니 볼에 보조개가 있고 아버지는 없는 경우 자식의 볼에는 보조개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그리고 이러한 보조개는 남자에게 많을까요? 여자에게 많을까요? ▲ 보조개(출처: 에듀넷) ■ 부모의 형질이 자식에게 유전되는 원리19세기 멘델이 완두콩 실험을 통해 유전 법칙을 발표했을 때에도, 부모의 형질이 자식에게 전달될 때에는 부모의 형질이 반반씩 섞인다는 ‘융합설’이 사람들의 보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곧 어머니가 보조개가 있고 아버지가 보조개가 없는 경우, 자식은 ..
별자리의기원과 신화 ■ 별자리의 기원깜깜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은 신비로운 느낌을 주며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요소이지요. 오래 전에 우리 땅에 살고 있었던 사람들도 이 별을 보고 있었을 것이며 그들도 마찬가지였을 것입니다. 아니, 옛날 사람들은 지금보다 밤하늘을 더 많이, 더 자주 바라봤을 테니 더 많은 상상을 했을 것입니다. 시계나 달력, 나침반이 없었을 시기에는 별은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연 지표가 되기도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별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지요. 별을 보고 방향과 시간을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밤하늘의 별은 잘 알려진 바대로 북극성을 중심으로 원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는 지구의 자전에 의해 별이 하루에 한 바퀴 도는 것으로 보일 뿐 별은 움직..
계절별 별자리 ■ 밤하늘을 바라보자! 날씨가 좋은 날, 해가 지고 깜깜해지면 밖으로 나가 봅시다. 우선 남쪽 방향을 찾아 그쪽을 바라봅니다. 별이 보이는 대로 점을 찍어 봅시다. 이후 책이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점으로 표현한 별을 연결하여 별자리를 완성해 봅시다. 그리고 3개월이 흐른 후 같은 시각에 밖으로 나가서 다시 남쪽 하늘의 반짝이는 별을 그리고 연결하여 별자리를 완성해 봅시다. 같은 장소, 같은 시각, 다른 날에 그린 별자리 그림은 같을까요? 사실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별자리는 계절별로 달라집니다. 그렇다면 계절별로 볼 수 있는 별자리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 계절별로 달라지는 별자리(출처: 에듀넷)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봄철 별자리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봄철 별자리에는 밝..
의식적 반응과 반사 ■ 의식적 반응과 반사야구 경기를 할 때, 날아오는 공을 보고 잡을 수 있는 것은 우리의 대뇌가 관여하여 자극에 대해 적절한 반응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뇌는 공이 날아오는 방향과 속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명령을 내립니다. 이 명령은 대뇌와 말초 신경계를 연결해 주는 척수를 통해 이동하고, 운동 뉴런을 통해 근육으로 전달되어 우리가 적절한 움직임을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렇게 대뇌가 관여하여 우리가 의식적으로 할 수 있는 반응을 ‘의식적 반응’이라 합니다. ▲ 의식적인 반응(출처: 에듀넷) 의식적인 반응이 이렇게 우리의 대뇌가 관여하여 우리의 의지로 할 수 있는 반응이라면, ‘반사’는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무의식적 반응입니다. 뜨거운 물체를..
동물의수정과 발생 ■ 생식 세포수정은 유성 생식을 하는 동물의 생식 세포인 난자와 정자의 핵이 융합하는 과정입니다. 생식 세포는 생식 기관 속의 생식 모세포가 감수 분열을 통해 생겨납니다. 정자정자(精子)는 동물 수컷의 생식 세포로, 암컷의 난자와 달리 스스로 운동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정자는 올챙이 모양으로, 머리, 중편, 꼬리로 구별할 수 있는데, 머리에는 첨체와 핵으로 되어 있고, 중편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있어서 정자의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꼬리는 정자의 운동 기관으로 편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정자는 난자에 비해 크기가 작고,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난자난자는 난소라고 불리는 암컷의 생식 기관에서 생산됩니다. 포유 동물의 경우 평생 내보내는 모든 난자를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가지고 있으며..
연금술 ▲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소설(출처: 에듀넷) 연금술은 근대 과학이 발달하기 전의 과학과 철학적 움직임이었으며, 흔히 값이 싼 금속에서 금 등의 귀금속을 정련하는 기술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금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소설에 이론적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만물이 물, 불, 공기, 흙의 4가지 원소로 구성되었고, 각각의 원소는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성질을 갖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은 4원소가 가진 두 가지 성질 가운데 하나만 바꿔 주면 다른 원소로 바뀔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졌습니다. 즉, 원소가 가진 성질을 바꾸면 다른 원소로 바꿀 수 있고,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의 비율을 바꾸면 다른 물질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기본 바탕입니다. ‘값싼 금속인 납의 성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