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7/07/11 (7)
교육부 공식 블로그
“나를 알기 위한 인문학, 토론수업 통해 배워요 ” [진로체험 프로그램 돋보기] 성공회대학교 토론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부모도, 학교도, 대학입시에서조차 토론이 중요함을 강조하지만 정작 학생들은 토론에 대해 배울 기회가 거의 없다. 교실의 모습 역시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에서 점차 쌍방향 소통하는 방식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지금,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위해 토론교육을 진행하는 대학이 있다. 서울 구로구 항동에 위치한 성공회대학교(총장 이정구 신부)는 성공회에서 설립한 기독교계 사립대학으로 열림, 나눔, 섬김을 교육이념으로 두고 있다. 이 대학은 중학교 자유학기제 전면시행에 대비해 2014년 대학 내 TF팀을 구성,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지원 활동을 시작했다. 성공회대학교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
흰색 달걀 줄까? 갈색 달걀 줄까? 따스한 봄 기운과 함께 4월 과학의 달을 맞이하였습니다. 크레존과 함께 재미있는 과학 실험을 해볼까요? 요리 보고, 과학 찾고! 크레존 GO~!! 출처_ 크레존
내가 만든 특별한 구두 꽃 피는 4월 만물이 소생하는 봄입니다. 크레존과 함께 신나는 활동을 해볼까요? 크레존 GO~!! ▶원문 보기 *내가 만든 특별한 구두! (소개) *내가 만든 특별한 구두! (수업지도안 다운로드) ▶관련 자원(체험처) 및 프로그램 *JS 슈즈 디자인 연구소 *성수동수제화거리 *무수옹 체험공방 *[전국] 방문직업체험: 가죽공예가 *[경북] 학교로 찾아가는 진로&창의체험 프로그램 출처_ 크레존
“무한도전 통해 역사 배우는 아이들을 위한 맞춤공연” [진로체험 프로그램 돋보기] 아트브릿지 “2005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용산으로 이전해 개관전시회를 열었는데 정말 많은 학생들이 관람을 왔습니다. 개관전시회답게 국보급 유물 100선을 특별 전시했죠. 걸어서 둘러보기만 해도 30분은 족히 걸리는 행사였는데 학생들이 30분도 안 돼서 뛰쳐나오는 겁니다. 행사장 밖으로 뛰어나오는 아이들을 보면서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당시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단에서 팀장으로 일하던 신현길 아트브릿지 대표는 이 사건을 계기로 역사와 문화 등을 재미있게 소개하고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한다. “박물관이라는 곳도 살아있는 콘텐츠보다는 박제화된 과거가 전시돼 있는 곳이라 학생들의 관심을 받기에는 어려움이 많습니..
퇴사만 5번한 남자, 3년간 돈 안 받고 한 일은 [자기주도진로] 강주원 청년토크쇼 꿈톡 수장 # 대기업 인턴 2개월, 공공기관 계약직 4개월, 제약회사 영업직 2개월, 청소년 진로교육단체 3개월, 대학 행정인턴 8개월, 공공기관 파견직 10개월…. 대학 졸업 후 3년 동안 최소 5번 퇴사한 청년이 있다. 잦은 퇴사 이력만 보면 끈기없는 청년이라 여겨질 수도 있지만 그가 3년여 동안 돈도 받지 않고 꾸준히 해온 일이 있다. 또래 청년들의 고민과 꿈을 나누는 토크쇼 '꿈톡'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수장 강주원(30) 씨 이야기다. 전남 광주가 고향인 주원 씨는 소위 ‘인 서울(in Seoul)’에 성공, 동국대 경영학과 06학번으로 입학했다. 대학 합격의 기쁨도 잠시, 인문상경계 학생들 대부분은 대..
“영어PT 준비하며 국제 아나운서 꿈 한걸음 더~” [나의 자유학기제] 경남 김해시 수남중학교 2학년 이시은 양 경남 김해시 수남중학교 2학년 9반 교실에 들어선 순간 알록달록 4절지 종이들이 빼곡한 게시판이 눈길을 끌었다. 30여명의 9반 아이들이 각자의 장래희망을 글과 그림으로 작성한 ‘진로 로드맵’을 전시해놓은 것이다. 아이들의 꿈이 가득한 교실에서 만난 이시은 양(15)은 지난 학기 자유학기제 홍보대사로 활동하면서 느낀 점과 ‘국제 아나운서’라는 자신의 꿈에 대해 거침없이 이야기했다. 지난달 27일 에디터는 노란 리본 배지 하나를 선물한 후 책상 하나를 사이에 두고 시은 양과 마주앉았다. -교육부 선정 자유학기제 홍보대사 활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 “선생님의 추천으로 시작하게 됐어요. 경..
게임으로 단어찾기·사투리 노래방 ‘교실 밖 국어수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돋보기] 국립국어원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공공기관은 빠질 수 없는 큰 축이다.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우리나라 모든 분야의 프로그램을 거의 모두 운영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중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국어원도 알찬 프로그램으로 진로체험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우리말 발전에 중추 역할을 맡고 있는 국립국어원은 지하철 5호선 종점인 서울 강서구 금낭화로에 위치해 있다. 국립국어원은 국어의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해 1991년 개원했다. 1984년 학술원 산하 임의 연구기관(국어연구소)으로 설립·운영되다 국립국어연구원으로 승격돼 지금에 이르고 있다. 국립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 발..